브랜드명
캔들라이트웍스(candlelightworks)

의미
사주에 ‘불’을 뜻하는 글자가 많은 박근영은 자신에게서 촛불 이미지를 떠올렸다. 촛불은 누군가의 의지로 켜진 빛이자 필요한 만큼의 공간을 비춘다는 특징이 있다. 그것이 자신과 닮았다고 생각했다. 그렇게 ‘캔들라이트’란 단어를 먼저 정했고, ‘촛불이 하는 일’, ‘촛불의 일’이란 의미를 담아 ‘웍스’를 붙였다. 

탄생 시기
2023년 여름 ‘단어와 요가’ 수업 시작, 2024년 여름 캔들라이트웍스 시작

핵심 가치 
‘내 안의 작은 빛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요가 프로그램과 제품을 선보인다. 사람들이 어둠 속에서도 흔들림 없이 나아가는 데 힘을 주는 촛불 같은 존재가 되고자 한다. 

브랜드 준비 초기에 가장 많이 했던 질문
Q. 매력적이고 독보적인 이야기를 지니고 있는가?
캔들라이트웍스 정식 오픈까지 2년이 걸렸다. 웹사이트에 브랜드를 소개하는 어바웃 페이지의 콘텐츠를 채우는 데 꽤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브랜드의 정의와 앞으로 나아갈 길 등을 명확하고 설득력 있는 언어로 표현하고 싶어 섣불리 시작하지 못했다. 

성장 포인트
물리적 공간이 주어진 것. 지인이 스튜디오를 빌려주어 ‘단어와 요가’ 수업을 시작했고, 현재는 타임 버티컬 플랫폼 ‘아침(Achim)’의 오프라인 공간인 ‘아침 프로비전’에서 월요일 저녁마다 클래스를 열고 있다. “여기서 하고 싶은 것 마음껏 해봐”라며 선뜻 공간을 내어준 지인들의 도움 덕분에 머릿속 상상을 현실로 만들 수 있었다. 

본래 에디터 일을 하셨다고요.
잡지사에서 피처 에디터로 일하면서 사람들의 사는 이야기와 식생활, 문화 전반을 취재하고 기사로 정리했어요. 지금도 프리랜서 에디터로 종종 일하고 있습니다. 성실한 청자 역할을 해온 덕분에 콘텐츠와 이야기의 힘을 믿게 되었다고 생각해요. 

요가는 어떻게 시작하게 됐나요? 
평소 신뢰하는 사람들이 요가를 많이 하는데, 그분들이 “너도 요가 좋아할 것 같다”며 넌지시 권유했어요. 회사 생활이 버겁게 느껴지던 어느 날, 그 말들이 떠올라 점심시간마다 회사 근처 요가원을 찾기 시작했죠. 요가는 내가 하는 만큼 다 내 것이 된다는 감각이 좋았어요. 매트 위에서 동작을 계속하는 것도 나, 힘든 순간을 참는 것도 나, 멈추는 것도 나. 모든 것이 나의 결정에서 비롯하니까요. 한동안 “세상에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건 내 몸밖에 없어”라고 말하고 다녔죠.

요가를 하면서 가장 달라진 점이 있다면요? 
어릴 때부터 제 몸에 자신감이 없어서 소심한 마음이 생기곤 했어요. 그런데 요가를 하면서 몸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어요. 내 몸이든 남의 몸이든, 어떤 형태도 그냥 몸 자체로 받아들이게 된 거죠. 형태보다 기능에 관심이 많아졌고요. 물론 여전히 “내일부터 다이어트해야 해” 같은 말을 내뱉을 때가 있지만,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인다는 것이 무엇인지 조금은 이해하게 된 듯해요.   

결국 요가 선생님이 되어, 브랜드까지 만들었어요.  
‘나는 어떤 사람이고 무엇을 잘하는지’를 찾는 게 숙제였어요. 하나를 깊이 파기보다는 다양한 것을 두루두루 경험하는 편이라 30대 초반이 되도록 스스로를 잘 모르겠더라고요. 그래도 언젠가 여러 길이 하나로 모일 거라 믿었고, 그때가 되면 브랜드를 만들어야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죠. 그렇게 제 오랜 관심사인 요가, 글, 그림, 패브릭(자수)으로 캔들라이트웍스를 만들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