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배, 저도 운동 시작하려고요. 그런데 무슨 운동을 해야 할까요?
요즘 보면 사람들마다 정말 다양한 운동을 해. 러닝, 요가, 테니스 등 ‘오운완(오늘 운동 완료)’ 해시태그를 걸고 올라오는 게시글을 보면 다들 건강하고 멋지게 사는 것 같아 부럽기도 하고. 그런데 중요한 건 무슨 운동을 하느냐가 아니야. 특히 운동의 ‘운’ 자도 모르는 사람이라면 가장 먼저 굳어 있던 몸을 풀어주고 몸을 움직이는 행위에 적응하도록 만드는 게 중요해. 모든 운동의 첫 스텝은 ‘이완’인 셈이지.
이완이라고요? 익숙한 단어인데, 정확한 의미를 모르겠어요.
이완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아.
(1) 바짝 조였던 정신이 풀려 늦추어짐.
(2) 굳어서 뻣뻣하게 된 근육 따위가 원래의 상태로 풀어짐.
즉, 몸과 마음이 편안한 상태를 말해. 그렇다고 온몸의 힘을 다 빼고 흐물흐물하게 만들어버리라는 건 아니야. 쓸데없이 힘이 들어간 곳은 힘을 빼고, 힘이 필요한 곳은 제대로 힘을 쓸 수 있도록 단련하는 것이 바로 이완이지. 이 이완 연습을 잘 해두면 본격적으로 운동을 시작할 때 더 효과를 볼 수 있고, 지치고 힘들어 운동을 그만두고 싶을 때 마음을 더 굳게 다잡을 수도 있어.
그런데 아무리 이완을 해도 회사에 가면 다시 긴장을 하게 돼요.
한번 이완을 잘했다고 해서 이완된 상태가 쭉 유지되는 건 아니야. 바쁜 일상에 치이다 보면 금방 예전 상태로 돌아가기 쉽지. 특히 직장인이라면 같은 자세로 오랫동안 일하게 되잖아. 그러면 몸은 다시 굳기 마련이야. 그래서 이완 연습을 습관으로 만드는 게 중요해. 출근 전이나 퇴근 후 해도 좋지만,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회사에서 틈틈이 이완 연습을 하는 게 가장 좋겠지?

회사에서는 어떤 운동으로 이완을 실천할 수 있을까요? 이왕이면 굽은 어깨나 거북목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운동이면 좋겠어요.
(1) 자리에서, 손목 운동
자리에 앉아서 할 수 있는 운동을 알려줄게. 키보드와 마우스에서 잠시 손을 떼고 주먹을 쥐었다 폈다 하되, 주먹을 펼 때 최대한 손가락을 곧게 쫙 편 상태로 5초를 유지하는 거야. 이 동작을 틈이 날 때마다 해주면 좋아. 자리에서 일어날 때는 책상 위에 손바닥을 대고 손을 바깥쪽으로 돌려서 손가락이 몸을 향하도록 만들어줘. 이 자세로 1분 정도 손목과 팔을 스트레칭 해주면 손목 터널 증후군에 효과적이야.
(2) 화장실에서, 상체 운동
화장실에 갈 일이 있다면 변기에 앉아 두 팔과 몸이 W 모양이 되도록 만든 다음 고개는 천장을 바라보고 등은 확 당겨 조여줘. 이 자세를 15초에서 20초 정도 유지하면 굽은 어깨와 거북목을 펴는 데 도움이 될 거야.
근력을 기르는 운동도 알려주세요.
(1) 까치발로 계단 오르기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오르는 게 운동이 된다는 건 잘 알고 있지? 여기에 발뒤꿈치를 드는 동작을 더해 봐. 까치발을 하고 발가락과 앞쪽 발바닥으로 지면을 힘차게 밀어내면서 계단을 오르는 거야. 그러면 하체 근육을 강화하는 데 좋고, 발목과 무릎을 단련하는 데도 도움이 돼.
(2) 벽에 대고 푸시업
벽을 마주 보고 서서 벽에 손바닥을 댄 자세로 푸시업을 해 봐. 엎드려 하는 것보다 힘은 덜 들고 자세에 더 집중할 수 있어서 좋아. 빈 회의실을 이용해 벽에 대고 푸시업을 하면 팔 근육도 강화할 수 있고 굽은 어깨를 펴지게 하는 데도 효과적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