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권태와 무기력에 얻어맞아 쓰러지는 가냘픈 인간이다. 월요일 다음은 화요일, 그 다음은 수요일, 그렇게 며칠 더 지내면 잠깐 기쁜 주말. 몇 달이 훌쩍 지나가고, 곁이 쌀쌀해진다 싶으면 일 년이 홀랑 지나가버리는 이 반복의 시간 위에 내가 있다. 파도 없는 수면경 위에 서있는 따분한 서퍼처럼. 나는 늙어가고 병들다 죽겠지. 생각의 관성으로 고꾸라지는 속도만 놓고 봐서는, 인간은커녕 자동화 기계라 불러도 좋겠다.
한동안 무기력 주간이 찾아와 쩔쩔매었다는 고백을 해야겠다. 누워서 텔레비전이나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다가 허기가 지면 아무거나 먹었다. 몸이 무겁게 쏟아지는 것 같아 가누기가 힘들었다. 읽지도 쓰지도 않았다. 이따금 남편에게 으스대며 던진 농담은 이런 내용이었다. “봤지? 불행은 나를 다 비껴 가. 행운도 그렇단 얘기지. 어제도 오늘이고 내일도 오늘이야(웃으면서 이런 말을 잘도 한다).”
어렵사리 몸을 일으켜 산어귀에 도착하면 수령을 짐작해볼 엄두도 나지 않는 고목들이 보였다. 봄이면 연둣빛 신엽을 꾸역꾸역 밀어올리고 있었고 가을이면 끝장을 각오한 주먹처럼 붉은 잎사귀를 내밀어 보여주었다. 울렁거렸다. 슬프게 보였다. 그러나 산행을 마치고 내려오는 길에 항상 같은 나무를 보고 놀라곤 했다. 봄이면 연둣빛 신엽이 눈부시게 상쾌했고, 가을이면 절정을 불태우는 에너지에 경건했다. 오르기 전의 나무와 내려오고 난 후의 나무는 같은 모습인데, 정말로 다르게 보였다. 이것은 나무의 둔갑술인가.
하루는 개화가 한창인 벚나무를 망연히 올려보다가 궁금해졌다. 꽃이 피었는데 왜 내가 슬픈 것인지. 슬픔을 추적하여 이리저리 살펴보았는데 답이 나오지 않았다. 나중에 시 한 편을 읽고 단숨에 알아버렸다. 나무는 있는 그대로일 뿐. 슬픔에 침잠한 내가, 나의 안쪽에서 허우적거린 것일 뿐. 나의 사랑이나 나의 증오로는 저 나무를 티끌만큼도 물들일 수 없음을. 나의 감정과 무관한, 진짜 나무의 독립을. 알아버렸다. ‘있는 그대로일 뿐, 사랑이나 증오로 흐려지지 않는다’ 실비아 플라스의 시구에서다.
거울
나는 은빛이고 정확하며 선입견이 없다.
무엇이든 보면 즉시 삼키고
있는 그대로일 뿐, 사랑이나 증오로 흐려지지 않는다.
나는 잔혹하지 않고, 다만 충실할 뿐.
모서리가 네 개인 작은 신의 눈.
대부분의 시간 나는 반대편 벽을 응시하지.
분홍빛 얼룩이 묻은 벽을 오래 바라보았기에
그게 내 심장의 일부라고 생각하지. 그러나 벽이
깜빡거리고 얼굴들과 어둠이 우리를 자꾸 갈라놓지
(중략)
내 속에 그녀는 어린 여자애를 빠뜨렸고, 내 속에서 늙은 여인이
날마다 그녀를 향해 솟아오른다, 끔찍한 물고기처럼.
– 실비아 플라스(Sylvia Plath)의 시 <거울(Mirror)>, 최영미 옮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