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LINE]
[00:00-00:39] 메모를 하는 원동력
[00:40-01:26] 메모로 이룬 것들
[01:27-01:56] 왜 메모를 해야 할까?
[01:57-03:06] 메모가 아카이브로
깨어 있는 동안 별의별 생각을 한다.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도 있고, 삶에 대한 통찰이 떠오르기도 한다. 그러나 대체로 소소하고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일 때가 많다. 이런 이야기를 꼭 기록으로 남길 필요가 있을까 싶어, 쉽게 잊어버린다. 하지만 그 별것 아닌 생각이 씨앗이 되어 싹을 틔울 수도 있다. “매일 한 시간씩 산책을 하며 사색에 잠겨요. 중요한 일뿐만 아니라 전 연애에 대한 기억처럼 근사하지만은 않은 일도 떠올리죠. 그 모든 걸 메모로 남겨요.” 10년 동안 광고인으로 살다 현재는 멜론 마케팅팀 팀장을 맡고 있는 노다혜는 사소한 생각도 기록하는 ‘메모광’이다. 틈틈이 쓴 메모의 개수만 1,100개에 달한다. 그렇게 쓴 메모가 작가 노수봉이라는 부캐를 탄생시켰다.
“처음에는 네이버 블로그에 일기를 썼어요. 글로만 표현하기가 아쉬워 그림을 그렸고, 이걸 본 다음 스토리볼로부터 연재 제안을 받았어요. 500만 뷰가 나올 정도로 큰 관심을 받았고, 덕분에 책도 냈어요.” 그는 광고 회사에서 일할 때 쓴 메모를 모은 에세이 <뜨끔뜨끈 광고회사人 메모장>을 썼고, 그 뒤 자취 생활을 하며 알게 된 팁을 모은 실용서 <호모 자취엔스>도 펴냈다. 책이 되었던 메모에는 거창한 이야기만 있는 건 아니다. “퇴근하고 싶어” 같은 낙서인 듯한 메모처럼, 애써 멋부리지 않은 진솔한 한 마디가 오히려 공감을 부른다.
“메모는 쉽지만 한편으로 어려운 일이에요. 기술적으로는 어려울 게 없지만, 꾸준히 쓰는 게 힘들기 때문이죠. 저는 그래서 저와의 약속을 해요.” 노다혜는 매일 한 시간씩 산책을 하며 메모를 하고, 잠들기 전 그 메모를 정리하는 시간을 갖는다. 메모는 주로 아이폰의 메모 앱에 쓴다. 특별한 도구 없이 떠오른 생각을 빠르게 적을 수 있는 최적의 도구라 생각한다. “부캐가 생기고 나서 삶에 활력이 생겼기에,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메모를 자주 꾸준히 하려고 해요. 최근에는 또 다른 부캐인 작사가에 도전 중이라 더 열심히 적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