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입 시기
2023년 9월 작업실을 옮기면서 구입했다. 배송 때문에 한 달 정도를 책상 없이 생활하면서 책상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느꼈다.

책상과의 시간
워커홀릭이라 잠들기 전까지 책상에 붙어 있다. 

책상 앞 루틴
도감을 비롯한 식물 관련 책을 책상 위에 올려두고 수시로 읽는다. 산책하거나 작업을 하면서 접하는 식물에 대해 궁금한 점을 찾아본다. 

몰입하는 주제
얼마 전 장미 정원에서 육성한 장미 종을 그리는 작업을 마쳤다. 요즘은 제주도에 있는 식물을 기록하고 있다. 세밀화를 그리면서 떠오른 다양한 생각을 글이나 오디오 콘텐츠를 통해 전하기도 한다. 

성장의 원동력
식물에 대한 애정과 끈기. 어렸을 때부터 뭔가를 한 번 시작하면 잘하지 못해도 꾸준히 했다. 책상 앞에 앉아 가지각색의 식물을 깊이 관찰하고 그리는 것 자체가 성향에 잘 맞는다. 지금은 모든 생활이 식물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우리는 어떻게 생긴 식물을 ‘장미’라 처음 불렀을까? 식물 세밀화는 이런 질문에 답이 되는 중요한 근거 자료다. 식물 종의 생장 과정을 끈질기게 관찰해 그린 그림으로 정확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소영 작가는 15년 가까이 식물 세밀화가로 활동하며 식물을 그리고 연구했다. “식물 세밀화는 시간 차를 두고 엮은 수십, 수백 장의 식물 사진 모음과 같아요. 씨앗부터 열매까지 모든 기관을 담아내고, 환경 변이를 제외한 수많은 개체의 보편적인 특징을 강조해 그리거든요.” 

그는 대학교에서 원예학을 전공하면서 식물 세밀화에 처음 눈을 떴다. 3학년 때 수목학 수업 과제로 교정의 나무를 그려 도감을 만들었는데, 이를 본 교수님이 식물 세밀화를 권유했다. 졸업 후에는 국립수목원 식물표본관에 들어가 본격적으로 식물 세밀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첫 직장인 국립수목원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랫동안, 가장 많은 식물 데이터를 수집하고 보존하며 연구해 온 기관이에요. 선배 연구자들의 논문과 고서에 남아 있는 최초의 식물 기록을 찾아보며 많이 배우고 성장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