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스몰 컬렉터, 작가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많이 떠올린 질문
Q. 이 일을 해서 먹고살 수 있을까?
순수 미술도 팔려야 먹고사는 일인데, 확신이 서지 않았다. 내 독립 출판물을 재미있어하고 사 주시는 독자분들이 있는 것이 감사하고 신기하다.

일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책의 판형, 수집품의 위치, 영상으로 만들 것인지 등 내가 느낀 것을 가장 고스란히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한다. 

일상의 소소한 물건을 수집해 독립 출판물로 펴내는 ‘스몰 컬렉터’로 알려져 있는데요. 언제부터 수집을 시작했나요?
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했는데, 처음에는 작업할 때 쓸 재료가 될까 해서 이것저것 모았어요. 그중에서도 특히 겨울마다 내리는 눈을 참 좋아해서 관련 이미지들을 모았죠. 대학교 3학년 때쯤 눈 이미지들로 가득한 박스를 보면서 굉장히 뿌듯했던 기억이 있는데, 이사를 다니면서 잃어버려 아쉬워요. 본격적으로 수집을 시작한 건 유럽에서 공부하던 시절, 이곳저곳 여행을 다니면서부터예요. 당시 아주 작은 것들을 많이 모아 노트에 이것저것 붙여봤었어요. 제 나름의 여행 노트였죠. 

수집한 물건을 독립 출판물로 내기 시작했어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소개 부탁드려요.
여름 포르투갈에서 본 바다의 풍경을 그리고 모으고 적어 펴낸 <Sea of Portugal>, 포르투갈에서 모은 사탕 봉지만으로 작업해 펴낸 <사탕책>, 포르투갈의 어느 가게에서 산 작은 노트에 작고 쓸모없지만 예쁜 것들을 붙여 만든 <스몰 컬렉팅북1>, 북유럽을 여행하며 책을 읽다가 책갈피로 쓴 영수증이나 나뭇잎, 전시 티켓 등을 모은 <여행자의 책갈피> 등 독립 출판물이 19권, 스몰 컬렉팅을 하는 방법을 다룬 <작은 수집, 스몰컬렉팅>을 비롯한 책을 3권 냈어요.

말씀하신 것처럼 작고 예쁜 것들이 가득한 것 같아요. 수집하는 것들에 기준이 있나요?
아주 순간적인 판단에 의존해 수집해요. 내 눈에 보기에 예쁘거나, 좋은 촉감을 주는 것들, 무언가를 떠올리게 하는 것들이죠. 나뭇잎이나 깃털 같은 자연물도 좋아하고, 모아놓고 보니 유독 먹고 남은 사탕이나 과자 껍질이 많더라고요. 모아놓은 뒤에 시간이 좀 지나면 다시 수집품들을 뒤적거리면서 버릴 것들을 버리고, 도저히 버리지 못하겠는 것들만 남겨요. 탈락될 것들이 다 탈락되고 나면 보이는 게 오히려 더 많아요.

수집한 것들을 책으로 묶어낼 때 어떤 과정을 따라가나요?
노트에 여러 가지를 붙였다 뗐다 하면서 하나의 큰 그림을 찾아가요. 그러면서 각자의 수집품이 가지고 있던 이야기가 하나로 합쳐지기도 하고, 나만의 스토리텔링이 되죠. 모은 물건들을 한참 뒤에 다시 보면 새로운 영감이 돼요. 물건을 배치할 때는 ‘감각적으로 보이는가’가 가장 중요해요. 균형을 맞추고 어떤 부분을 더하고 어떤 부분은 날아가고 하면서 제가 원하는 느낌을 만들어가는 거죠. 대학 때 책을 만드는 과정에 대한 수업을 청강한 적 있는데, 그 수업에서 책도 오브제라는 걸 배운 게 큰 기점이 되었어요. 책은 평면이 아니라 만질 수 있는 물건이고, 손으로 만져지는 질감이나 펼쳤을 때의 곡면에 따라 보이는 것, 판형 등이 모두 책에 대한 경험이 될 수 있단 걸 알게 된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