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대표가 설립한 프릳츠커피컴퍼니는 단순한 카페를 넘어 하나의 브랜드로서 우리나라 커피 문화의 흐름을 바꿔 놓았다. 그러나 그 역시 커피가 쓰디쓰기만 하던 시절이 있었다. 그가 스포츠지 기자로 사회생활을 시작했을 당시에는 커피란 그저 달달한 인스턴트커피가 전부였다. 커피라는 세계에 빠져든 건 친구가 데리고 간 카페에서 시작됐다. 그곳에서 핸드 드립으로 내린 커피를 마셨는데, 세상 처음 느껴보는 묵직함과 강렬한 풍미에 매료되고 말았다. 커피가 좋아지기 시작하면서 커피에 대해 더 알고, 배우고 싶어졌다. 그 후 매일 그 카페에 드나들다시피 하며 커피를 마셨고, 우연히 시작한 카페 아르바이트는 인생의 방향을 송두리째 바꾼 전환점이 되었다. 로스팅 방식, 원두 산지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매일 새로운 맛의 커피가 만들어지는 걸 눈으로 확인한 것이다. 그는 이처럼 다채로운 커피를 마시고 배우면서 커피에 대한 자신의 취향을 알아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하지만 단순히 궁금하고 좋아한다고 내 취향의 커피를 단번에 알아차릴 수는 없다. 가장 좋은 방법은 더 많이 마시고 기록하는 것이다. 거창하진 않아도 좋다. 그저 맛의 차이를 느끼기 위해 오늘 내가 마신 커피가 무엇이고, 그 맛이 어땠는지 기입하면 된다. 이는 그가 커피를 처음 시작할 때 빼놓지 않았던 일이기도 하다. 한번은 아프리카 케냐산 커피를 마시고 “아주 강인한 달리기 선수 같다.”는 메모를 남긴 적이 있는데, 그 문구 덕분에 지금까지 그때의 특별했던 맛을 기억할 수 있다. 커피의 맛과 그곳의 분위기 등에서 느낀 감정을 전문 용어, 맛 표현에 구애받지 않고 편하게 적어본다. 실제로 맛에서 진짜 ‘미’가 차지하는 비중은 30%밖에 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날의 분위기, 공간, 날씨, 풍경, 감정, 함께 마셨던 사람 등 다양한 요소가 가미되어 진정한 커피의 맛이 완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