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다 칼로와 원숭이, 데이비드 호크니와 물, 구사마 야오이와 동그라미. 이와 같이 작가에게는 각자 깊게 파고드는 소재가 있다. 진청에게 그 대상은 돌고래다. 그가 돌고래를 그리게 된 이야기는 열두 살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가족 여행으로 간 미국 바하마 섬에서 어린 진청은 5분짜리 ‘돌고래와 수영하기’ 체험 프로그램에 참가한다. “그때 돌고래 피부에 닿던 손의 감각이 아직도 정말 생생해요. 마치 공기로 꽉 찬 풍선을 만지는 듯한 느낌이었어요.” 진청은 그날 완전히 돌고래에게 반해 버렸고, 돌고래 모양으로 만든 거라면 뭐든 모으기 시작했다. “돌고래를 향한 제 사랑은 공공연한 사실이라 가족, 친구들도 돌고래와 관련된 물건만 보면 까마귀처럼 가져다줘요.” 그렇게 그의 책상에는 돌고래가 주인공인 소설과 영화 DVD, 돌고래 스티커, 돌고래 반지와 귀고리, 돌고래 키링 등이 17년간 쌓여갔다.
돌고래를 가두는 수족관에 가지 않기로 마음먹은 후로는 대신 돌고래가 나오는 영상을 찾아본다. 그중 특히 기억에 남는 다큐멘터리는 제주 해녀와 돌고래의 각별한 우정을 다룬 작품이다. 영상 속에서 해녀가 물질을 하고 있으면 거짓말처럼 돌고래는 그곳으로 찾아왔고, 둘은 춤추듯 함께 수영을 하곤 했다. 진청은 그때 버킷 리스트가 생겼다. 죽기 전에 서로를 알아보는 친구 같은 돌고래를 만나고 싶다는 꿈같은 소원이다. 도시를 떠나 바닷가 마을에 살게 된다면, 수영을 제대로 배우거나 스쿠버다이빙 자격증을 따게 된다면 야생 돌고래들과 함께 바닷속을 헤엄칠 수 있지 않을까 가끔 상상해 보곤 한다.
살면서 망각을 두려워하는 것보다 무감각을 두려워한다면, 누구든 예술가일 것이다. 돌고래는 진청의 무감각을 일깨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돌고래를 사랑하면서부터 살아 있는 존재에게 자유롭게 산다는 감각이 어떤 의미인지 생각하게 되었다. “제 손을 돌고래의 지느러미에 얹은 순간, 양손으로 지느러미를 잡고 바다로 헤엄쳐 나가는 상상을 했어요. 변덕스러운 파도, 상어나 바라쿠다를 만나더라도 돌고래와 함께라면 다 괜찮을 것 같았죠. 그 순간 정말로 살아 있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인생을 통틀어 5분도 안 되는 시간이었지만, 제게는 결정적인 순간이자 아주 중요한 내면의 기억으로 남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