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 때부터 홍정희는 출판업계에서 일하는 어머니로 인해 잡지를 동화책 보듯 쉽게 접했다. 처음으로 보기 시작한 건 어린이 잡지 『위즈키즈』. 책 한 권에 담긴 수많은 정보, 그 정보들이 하나의 레이아웃 안에 자유롭게 배치된 모습은 어린 그의 눈을 번쩍 뜨이게 했다. 그는 곧이어 『위즈키즈』를 발간하는 잡지사에서 에디팅과 모델을 직접 체험해 보며 패션 에디터에 대한 꿈을 키워갔다.

초등학생 때부터 주로 패션 잡지를 모았다. “가장 좋아했던 건 『마르파 저널 MARFA JOURNAL』과 『알라 칼타 ALLA CARTA』예요. 두 잡지 모두 일관되면서 강렬한 개성을 가졌어요. 『MARFA JOURNAL』은 기본적인 레이아웃의 틀을 깨는 편집이 주를 이루고, 지면에 담긴 사진 또한 과감하고 유머러스한 이미지를 타이포그래피로 재치 있게 구성한 잡지예요. 또 『ALLA CARTA』는 절제의 미를 알게 해준 잡지인데, 별다른 텍스트 없이 대체로 이미지로만 구성되어 있는데도 기승전결이 지루하지 않게 표현되어 있었어요.”

그는 패션 에디터를 꿈꾸며 패션디자인과에 입학했지만 기대와는 달랐다. 디자인에 치중된 커리큘럼은 적성과 맞지 않았고 결국 자퇴를 택했다. 그러고는 패션업계에서 일해 보기도 했지만 어딘가 만족스럽지 못했다. 그때 느꼈다. 패션 에디터가 되고 싶었던 이유는 패션을 좋아해서이기보다 잡지와 그 안에 담긴 비주얼을 동경했기 때문이었던 것이다. 그걸 깨닫고 난 뒤 비주얼 디자이너를 꿈꾸었고, 잡지만 모았던 취향도 아트 북이나 사진집으로 점차 넓혀갔다.

“시각 디자이너가 되겠다고 마음먹은 이후부터는 폭넓은 시각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서 아트 북을 모으기 시작했어요. 패션 잡지보다는 아트 북의 구성이 좀 더 자유롭다고 느꼈거든요. 동일한 규격에 어떤 레이아웃을 구성하느냐에 따라 풍기는 느낌이 다르기도 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