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배, 입사했을 때 사수도 없고 매뉴얼도 없었다고요? 말만 들어도 등골이 오싹하고 동공 지진이 일어났을 것 같아요.
지금 생각해도 아찔해. 공채 교육을 받고 드디어 회사에 첫 출근해서 조직장님과 일대일 면담을 하는데, “민석 님이 맡으실 일은 지금까지 우리 조직에서 아무도 한 적이 없다”며 “혼자 터득해야 한다”고 하는 거야. “그러나 여기는 학교가 아니니까 배우는 곳은 아니니 알아서 잘해 보라”는 격려(?)의 말과 함께 말이야. 그때 우리 팀원이 17명이었는데 나만 기획자였고 다 백엔드 서버 개발자였어.

아찔하다는 말이 절로 나올 만하네요. 맨땅에 헤딩인 상황에서 길을 잃을 법도 한데, 어떻게 업무 일지를 쓸 생각을 했어요?
입사 전에 사회적 기업 ‘아름다운가게’에서 인턴을 했는데, 그곳에서 일하는 법을 많이 배웠어. 당시 내 멘토가 업무 기록하는 걸 일러주셨거든. 그땐 에버노트로 기록하곤 했어. 조직장님과의 대화를 마치고 이거부터 써야겠다는 생각이 든 거지. ‘신입의 패기 + 혼자라는 위기감 + 그래도 해내고 말겠다는 오기’가 더해져 뭐든 붙잡는 심정으로 기록을 시작했어.

다이어리나 스케줄러를 써도 되고 기존에 썼던 에버노트를 계속 써도 됐는데, 노션을 택한 이유가 있나요?
일단 난 다이어리를 끝까지 써본 적이 없어. 다른 사람보다 정리벽이 있거나 계획적인 사람도 아니라 다이어리는 못 쓰겠더라고. 매일 컴퓨터 앞에 있으니 디지털 플랫폼이 더 편하기도 했고. 당시 여기저기서 노션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이 들려서 그냥 ‘나도 한번 써보자’ 한 거야. 그런데 노션을 쓰면서 에버노트는 절대 따라올 수 없는 노션만의 매력에 빠졌고, 그 이후엔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가 됐지.

노션만의 특장점은 뭔가요?
나만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검색할 수 있다는 거야. 에버노트는 구조 자체가 컴퓨터에서 폴더 관리하는 거랑 똑같아. 그런데 노션은 ‘다중 선택’을 통해 태그화해서 나만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 수 있어. 예를 들면 내가 노션 검색창에 ‘기획서’를 검색해 볼게. 그동안 내가 진행했던 기획서 관련 업무들이 쫙 펼쳐지지? 노션은 무척 구조적인 프로덕트라 여기서 특정 시점이나 페이지도 선택할 수 있어.

선배, 업무 일지는 언제 기록하나요? 어떻게 기록하는지 보고 싶어요.
아침에 출근하자마자! 이미 만들어진 틀이 있어서 일과를 적는 데 5분도 안 걸려. 자, 한번 보여줄게. 이걸 보드뷰라고 하거든? 이 판 자체가 보드야. 2021년 한 해 동안 작성한 업무 일지인데, 이렇게 일 년이 이 보드에 다 담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