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카팕의 직업은 ‘요리먹구가’. 난생처음 들어보는 직업명인데, 그 뜻을 물어보니 명확하고 간결한 해설이 따라붙는다. “저를 정의할 말이 필요했어요. 요리 연구가까지는 아니지만 요리를 ‘먹구’ 가게 하는 건 자신 있었거든요.” 그는 요리하고 내어주는 일을 한다. 요리를 매개로 클래스를 열기도 하고, 일에 관한 인터뷰도 한다.

이탈리아어를 전공했다. 전형적인 문과 학생이었는데 대기업 개발자로 입사하게 되었다. 하고 싶었던 일보다 당장 할 수 있는 일을 찾았고, 불쑥 내민 지원서가 합격 소식을 물고 왔을 땐 어찌 됐든 기분이 좋았다. 학자금 대출을 갚을 수 있는 기회가 생긴 것이고 거기다가 이름만 대면 다 아는 대기업 사원이 된 것이니 나쁘지 않은 일이었다. 입사 후 교육 기간에는 잠깐 큰 꿈을 키워보기도 했다. “이참에 나도 스티브 잡스처럼 융·복합형 인재가 돼보는 거야!” 할 수 있을 것 같았고, 미래의 모습을 상상하면 마음이 간지럽기도 했다. 설렜다.

큰 꿈은 오래가지 못했다. 본격적인 업무에 투입되자마자 자신의 길이 아니란 걸 바로 깨달았다. 일하는 매 순간 괴롭고 힘들었지만 쉽게 그만둘 수는 없었다. 학자금 대출을 갚아야 했고, 서울살이를 이어가야 했다. 턱 끝까지 차오르는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주변을 두리번거리다가 찾아낸 것이 ‘요리’와 ‘독립 출판물’이었다. 카피라이터가 되고 싶었던 오래된 꿈을 꺼내어 독립 출판물 클래스를 신청했고, 써놓은 글을 엮어 3권의 책 <웃_픈>, <우_잉>, <도시시>를 출간하기에 이르렀다. 이때 ‘에리카팕’이라는 이름을 만들었고, 새로운 이름을 얻은 것만큼 새로운 삶의 결들이 생겨났다.

요리는 일상에서 쉽게 도전해 볼 수 있는 즐거움이었다. 만든 것을 지인들에게 보여주면 긍정적인 피드백이 돌아왔다. 사람들을 초대해 250번이 넘는 집들이를 하면서 함께 먹는 시간의 가치를 몸으로 경험하고 나니 먹고 웃고 이야기하는 일을 좀 더 본격적으로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만든 게 ‘잇어빌리티’와 ‘함바데리카’다. 잇어빌리티는 1인 가정이 쉽고 간편하게, 있어 보이게 먹는 능력을 알려주는 클래스인데, 이 프로젝트를 통해 그는 좋아하는 일의 실체를 찾게 됐다. “‘이게 천직이라는 거구나’라는 걸 느꼈어요. 생각해 보니 저는 사람들 앞에서 이야기하고 나를 보여주고 함께 교류하는 걸 좋아하는 사람이더라고요.” 그러고 보니 대학을 갈 때도, 입사를 할 때도 자신에 대해 제대로 생각해 본 적이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어떤 일을 좋아하는 사람인지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다른 사람들도 그럴까? 사람들은 일과 자신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사는지 궁금했다. 어떻게 해서 일을 시작하게 됐는지, 일할 때 즐거운지 괴로운지,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그래서 ‘함바데리카’라는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에리카의 함바’라는 뜻인데 ‘함바집’에서 볼법한 평범하고 소박한 한식을 내어주고 초대한 사람들과 함께 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다. 웹 디자이너, 배우, 콘텐츠 기획자, 안무가, 일러스트레이터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하며 각각의 일과 일상, 자신과 꿈에 대한 말들을 나눴고 그러면서 분명히 깨달은 것이 있었다.

“함바데리카를 하고 난 뒤 제게 강력하게 남은 메시지는 맹목적으로 일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한 번쯤 ‘스톱’해 보는 시간이 꼭 필요하다는 거예요. 그렇게 제동을 걸어보신 분들이 확실히 결이 다른 인생을 살고 있다는 걸 느꼈어요. 시기는 중요하지 않은 것 같아요. 이른 나이에 그 시간을 갖게 되면 빠르게 추진력을 얻게 되는 거고, 늦은 나이에 하게 되면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등 나에 대한 데이터가 쌓였기 때문에 더 명확한 판단을 할 수 있을 거고요. 어느 시기이든 중요하지 않으니 꼭 한 번 멈췄다가 일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을 갖고 다시 걸어가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