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명
고스트북스(Ghostbooks) 

의미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던 류은지가 자신의 존재를 희미하다 느꼈을 때 지은 이름이다. 유령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막상 맞닥뜨리면 놀라게 된다. 그런 유령이 창작자와 닮아 보였다. 창작자란 존재는 작업하는 동안에는 희미하지만, 결과물을 발표할 때는 반짝인다. 그게 창작자가 지닌 힘이라 생각한다.  

탄생 시기
2015년 2월 

핵심 가치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이든 잘 읽지 않는 사람이든 영감을 얻어 갈 수 있는 공간. 갤러리나 미술관보다 캐주얼하게 예술 문화를 느낄 수 있는 독립 서점은 로컬 문화에 중요하고 필요한 공간이라 생각한다.

브랜드 준비 초기에 가장 많이 했던 질문
Q. 지속 가능할 수 있을까?   
고스트북스를 오픈할 당시는 지역 내에서도 독립 출판에 대한 언급이 막 시작되던 시기였다. 궁극적으로는 수익이 나야 지속 가능할 텐데, 그러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 많았다. 그 답으로 자체적인 콘텐츠를 만들어 보여주기로 했다. 

성장 포인트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가게 영업시간이 축소되었을 때 온라인 스토어에 본격적으로 힘을 쏟았다. 덕분에 다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주문이 늘어났다. 류은지의 일러스트를 기반으로 제품을 만드는 세컨드 브랜드 ‘리틀룸’ 역시 고스트북의 새로운 면을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이처럼 어려운 시기를 그냥 흘려보내지 않고 무언가를 한 것이 성장의 기반이 됐다.

고스트북스는 어떻게 시작됐나요? 
류은지 2015년부터 책을 만들어오다 김인철 씨를 만나면서 공간을 꾸리게 됐어요. 앞으로 둘이 함께 재미있게 해나갈 수 있는 게 무엇일지에 관해 많은 대화를 나누다 책방을 운영하기로 결심했죠. 둘의 중심에는 책을 좋아한다는 공통점이 있었거든요. 
김인철 기계과를 졸업한 후 엔지니어로 일하다 류은지 씨가 운영하는 책 만들기 수업을 듣게 됐어요. 학교생활을 하며 조금씩 써온 글을 책으로 엮어보고 싶었거든요. 당시 진로에 관해 많은 고민을 하던 차였는데, 취업을 하면서 오히려 하고 싶은 일이 명확해졌어요. 평생 엔지니어로 일하며 사는 건 힘들 수 있겠단 생각이 들었죠. 은지 씨도 하고 싶은 일을 하라고 독려해 줘서 함께 책방을 시작하게 됐어요. 

책방을 열기로 의기투합한 후 어떤 이야기를 많이 나눴나요?
류은지 고스트북스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방향성, 지향해야 할 부분에 대해 많은 논의를 했어요. 저는 서점을 꾸리기 이전에 독립 출판 제작자였기 때문에 제작자의 고충을 이미 알고 있었죠. 제작자를 고려한 시스템을 차근차근 만들어나갔어요. 

고스트북스에서 책을 셀렉트하는 기준이 궁금해요. 
류은지 저는 예술 쪽, 인철 씨는 그 외 텍스트 기반의 책들을 담당하며 색이 분명한, 개성 있는 책을 발굴해 소개하고 있어요. 최대한 다양한 카테고리의 도서를 소개할 수 있도록 라인업을 고루 갖추려 해요. 
김인철 대형 서점이나 도서관에 가보면 ‘이런 책이 있었나?’ 싶은 책들이 많아요. 신간뿐 아니라 다시 많은 사람들에게 읽혔으면 하는 오래된 책들을 들여와 독자들의 주의를 환기시키려 하죠. 최근에는 오에 겐자부로의 <소설의 방법>을 들여왔어요. 요즘 글을 쓰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잖아요. 그런 사람들을 위한 좋은 이야기가 다양하게 녹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