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명
피어스(Peers)
의미
영어로 ‘동료’라는 뜻이다. 이곳에 함께하는 멤버 모두가 우리에게는 동료라는 의미를 담았다.
탄생 시기
2021년 9월
핵심 가치
프리랜서들이 활발하게 교류할 수 있도록 만남의 장을 마련하는 것. 동시에 그 안에서 파생된 여러 프로젝트나 브랜드가 더욱 확장될 수 있는 공간적 기반이 되고자 한다.
브랜드 준비 초기에 가장 많이 했던 질문
Q. 대형 오피스와 어떻게 경쟁할 수 있을까?
경쟁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방법은 경쟁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대형 오피스가 잘하는 부분을 벤치마킹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경쟁조차 어려운 한계가 있다는 점 또한 인정해야 한다. 그다음은 주어진 조건 안에서 우리만의 차별점을 찾아내는 것이다. 우리는 너무 조용하거나 딱딱한 분위기가 아닌, 카페처럼 감각적인 공간 속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일하는 것을 즐기는 프리랜서들을 타깃으로 정했고 그에 맞게 공간을 꾸몄다. 소규모이기에 더욱 가능했던 부분인 것 같다.
성장 포인트
올 화이트 인테리어에서 엿볼 수 있는 가변성. 무한히 변화하고 확장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화이트를 선택했다. 필요에 맞게 책상이나 의자 배치를 다르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새롭게 바뀌는 공간에 다양한 브랜드나 작가의 팝업 행사, 전시 등을 열 수도 있다.
현재 피어스는 하재호와 정호진, 두 사람이 운영하고 있어요. 두 분은 어떻게 만났나요?
하재호 같은 대학교에서 금속공예를 전공했어요. 미대 특성상 남학생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적었는데, 그 와중에 같이 학생회를 하게 되면서 더 친해졌죠. 얘기를 나누다 보니 생각하는 것도 비슷하더라고요. 작은 물건에 큰 가치를 담는 ‘스몰 럭셔리’로 키워드가 모아졌고, 졸업 후 진로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창업을 생각했던 것 같아요.
그중에서도 공유 오피스를 열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하재호 브랜드를 만들려면 우선 작업 공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50제곱미터(15평)나 132제곱미터(40평)나 비용적으로 부담이 되는 건 마찬가지더라고요. 큰 차이가 없다면 조금 더 넓은 공간을 쓰자는 게 저희가 내린 결론이었고, ‘그럼 이 공간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라는 질문에 이르게 됐어요.
정호진 브랜드라는 게 결국 사람과 소통하는 일이잖아요. 이 공간을 통해서 먼저 사람들과 만나고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고민 끝에 공유 오피스를 열기로 했어요. 이곳을 이용하는 분들과의 커뮤니티 형성을 통해 직업적 또는 개인적으로 성장의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죠. 피어스의 멤버들이 훗날 저희 고객이 될 수도 있고요.
주로 어떤 분들이 피어스를 이용하고 있나요? 특별히 선호하는 분야의 작업자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하재호 대략 200여 명이 피어스를 거쳐 갔고, 현재 이용하고 있는 멤버는 40명 정도예요. 디자이너와 마케터가 주를 이루지만 프리랜서라면 누구든지 환영이에요. 공생의 가치를 아는 분이라면 더 좋고요. 피어스는 카페형 오피스이기 때문에 자리를 고정해 두지 않아요. 매일 다른 자리에 앉아서 일을 할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서로 배려하는 것이 중요해요. 내가 쓰던 자리를 다른 사람이 쓰게 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