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LINE]
[00:00-00:44] 나의 최애는 김밥 
[00:45-01:21] 좋아하는 일을 찾는 과정
[01:22-02:20] 좋아하는 일을 직업으로
[01:45-02:18] 내가 성장한 순간

천직이라는 게 있을까? 생각만 해도 가슴이 두근거리는 일을 하며 산다는 건 환상일까? “아유, 하기 싫어”를 N번째 외치며 모니터를 바라보다 보면 근원적인 질문이 똬리를 튼다. ‘내가 정말 하고 싶은 일은 뭘까?’ 김밥 큐레이터 정다현도 한때 품었던 질문이다. 그는 삼시 세끼 김밥을 먹은 다음 날에도 또 김밥을 먹고, 먹는 시간 외에는 맛있는 김밥집을 서치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쓰는 ‘김밥에 미친 사람’이다.

“좋아하는 일을 찾기 위해 일단 퇴사를 했어요. 회사를 그만두고 먹스타그램 계정을 1년 정도 운영했죠. 평소 콘텐츠 만드는 일에 흥미가 있었거든요. 어느 순간 ‘좋아요’가 많이 찍히는 음식들만 쫓아다니는 스스로를 보며 이건 내가 원한 삶이 아니란 생각이 들었어요. 가장 좋아하는 음식 하나만 파보자 싶어 전국 김밥 일주를 떠났어요.” 

3주 동안 50곳의 김밥집을 방문한 후 이를 하나하나 기록한 것이 인스타그램 ‘김밥집(@gimbapzip)’의 시작이다. 그 뒤로 3년간 서울, 경기 외에도 45개 지역을 누비며 600여 곳의 김밥집을 탐방했다. 자신의 김밥집 추천이 모호해질 것을 경계해 광고나 협찬은 일절 받지 않았다. 자신의 기준에 맛없는 김밥집은 절대 계정에 업로드하지 않는 것도 김밥 큐레이터로서 지키는 철칙이다. 

당장 눈에 띄는 성과를 얻지 못하더라도 꾸준하게 콘텐츠를 만들었어요. 어떤 콘텐츠를 만드느냐보다 콘텐츠를 만드는 태도가 어떠냐가 더 중요하다 생각해요. ‘누가 봐도 그 일에 미쳐 있구나’ 하는 마음가짐으로 임해야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