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명
그래도팜(farm nevertheless)
의미
“그래도 해봐야지”, “그래도 그럼 쓰나” 등 원승현 대표와 부모님의 대화에서 가장 많이 나온 단어가 ‘그래도’였다. 힘들고 외로운 길을 한결같이 달려온 부모님의 열정을 담아 ‘그래도팜’이라 이름 붙였다. 영문명은 ‘nevertheless’로 ‘그럼에도 불구하고’란 뜻이다.
탄생 시기
원농원은 1983년, 그래도팜은 2015년.
핵심 가치
‘사람이 먹을 것을 만든다’는 기본 원칙을 철저히 지킨다. 유기농 농법만으로 농사를 짓는 건 다소 불편하고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일이지만 절대 타협하지 않는다. 그게 브랜드를 매력적으로 만들 테니까.
브랜드 준비 초기에 가장 많이 했던 질문
Q. 이 사업이 지속 가능할 수 있을까?
비료와 농약을 쏟아붓지 않기 위해선 건강한 땅과 종이 중요했다. 해외 출장에서 만난 에어룸(heirloom) 토마토를 국내에 재배하기 시작하며 사업에 점차 확신을 얻었다. 직접 키운 토마토에서 채취한 씨앗을 다시 심으며 품종을 보존하고 있다.
성장 포인트
2022년 법인을 설립해 ‘토마로우’라는 브랜드도 시작했다. 지속 가능한 농업을 지향하는 브랜드로, 맛 좋은 생산물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넘어 그 이면에 숨은 노력의 가치를 공유한다. 농장 옆에 종합 체험 공간을 운영 중이다.

본래는 디자이너였는데 어떻게 부모님의 농장을 잇기로 했나요?
이직하면서 생긴 잠깐의 기간 동안 부모님이 운영 중인 ‘원농원’에 새 이름을 지어주고자 아버지를 인터뷰했어요. 대화를 나누며 부모님이 그동안 어떤 생각으로 농사를 지어왔고, 현재 우리 농업이 어떤 상황인지를 알게 되었죠. 미래 세대에 농업의 가치를 알리는 역할을 해야겠다는 사명감이 생겼어요. 전부터 내 브랜드를 만들고 싶다는 욕심도 있었고요. 브랜딩 디자이너로서 일하는 건 때때로 브랜드를 애써 낳고 키워 입양을 보내는 기분이었거든요. 막상 시작하고 1~2년간은 농사가 힘들어서 짐 쌀 생각도 많이 했는데, 다행히 여기까지 왔네요(웃음).
농장을 브랜드화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부분은 무엇인가요?
우리 세대는 대체로 농업을 잘 몰라요. 심지어 경시하는 풍조도 있죠. 그래서 농업이 촌스럽고 힘든 일이 아니라 세련되고 즐거울 수 있다는 인식을 만들고 싶었어요. 체험 공간 디자인에 각별히 신경 쓴 건 부모님 손잡고 온 어린이들에게 농사에 대한 좋은 경험을 심어주기 위해서였어요. 평생 정직하게 농사를 지어온 부모님의 노동 가치를 폄하하지 않는 것도 중요했고요.
운영하면서 나만의 농사 철학도 생겼을 것 같아요.
농사는 땅이 정말로 중요한데, 대부분의 국내 농경지는 화학 비료 의존도가 높아 좋은 토양을 갖추고 있지 못해요. 그래도팜은 토양의 질을 개선하는 데 힘을 쏟고 있어요. 직접 유기물을 발효하고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해 농장 내에 퇴비 발효장을 별도로 만들었죠. 잘게 부순 참나무 껍질을 발효해 만든 천연 퇴비는 우리 농장의 자랑 중 하나예요. 그런 퇴비를 쓴 토양에서 자란 식물은 맛은 물론이고 향도 풍부하거든요.
농작물을 대량 생산하다 보면 땅의 순환까지 고려하긴 어렵잖아요.
해마다 전 세계적으로 240억 톤의 토양이 사라지고 있어요. 세계토양학회에서는 2050년에 농경지로 사용할 수 있는 토양이 현재의 절반일 거라고 말하죠. 우리 삶에 가장 중요한 먹거리가 확 줄어든다는 뜻이에요. 좋은 토양과 이를 보존하는 농법, 그 안에서 길러낸 건강한 농작물에 관심을 두는 소비자가 많아져야 우리의 미래도 지속될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