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촌코미디클럽의 시초
2019년 독서 모임에서 만난 친구가 ‘함께 코미디 보는 모임’을 제안해, 멤버를 모았다. 첫 만남에서 누군가 코미디를 직접 하는 것 아니었냐고 반문했고, 이후 돌아가면서 앞에 나와 웃긴 얘기를 하기로 했다. 그렇게 2주에 한 번씩 일요일 아침마다 만나 삶에서 벌어진 웃긴 에피소드를 털어놓았다. 모임 이름을 고민하던 중 이왕이면 꿈을 크게 갖고자 ‘동북아국제구술문화연구회’(이하 ‘동북구연’)란 거창한 명칭을 떠올렸다. 멤버 한 명이 주최하는 연말 파티의 한 코너로 공연을 열며 청중을 만나게 되었다.
마이크를 잡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모임을 쉬어 가던 때, 미국 뉴욕으로 떠나 코미디 스쿨에서 스탠드업 코미디 워크숍을 들었다. 수강생 모두가 마지막 날에는 공연을 해야 하는 수업으로, 클럽에서 누구나 마이크를 잡고 장기 자랑을 열 수 있는 ‘오픈 마이크(openmic)’란 개념을 알게 됐다. 실제로 뉴욕에는 그렇게 열린 무대가 많았다. 5분 정도의 시간 동안 마음껏 말할 수 있는데, 스탠드업 코미디언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연습 자리가 되어준다. 한국에도 그런 무대를 만들고 싶어 동북구연 멤버 중 한 명이 운영하는 서촌의 스튜디오에서 ‘서촌코미디클럽’을 시작했다. 현재는 나를 포함해 세 명이 운영 중이다.
수치심을 수면 위로
‘사월날씨’란 필명을 쓰는 친구의 관심사가 수치심이었다. 그 친구와 대화를 하며 사람마다 수치심을 느끼는 이유나 정도가 다르고, 그것이 우리 삶에서 순간순간 일어나는 크고 작은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 얘기를 혼자 글로 풀어낼 생각이던 그에게 사람들을 모아 수치심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는 온라인 워크숍을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부끄러움을 극복하는 일
부끄러운 일을 반드시 털어놓을 필요도 없고, 유쾌하게 표현할 이유는 더더욱 없다. 하지만 감추는 일에 익숙해지면 외로워지기 마련이다. 가끔은 내 모습을 있는 그대로 이해받고 싶기에. 나도 그런 연유로 시작한 일이다. 정확히는 내 글이 사랑받았으면 했다.
못난 이야기에 마음이 가는 이유
솔직히 ‘나 잘났다’고 하는 얘기보다 못난 모습을 담은 글이 눈길을 끌기 쉽다. 대개의 사람들이 남의 자랑은 듣기 싫어하고, 못난 모습은 어떤 면에서 연민을 느끼고 공감하니까. 일단 내 안에 있는 이야기를 진솔하게 꺼내어 쓰고, 세상에 보여주자. 가까운 친구를 상대로도 부담스럽다면 익명으로 SNS에 올리는 거다. 나는 부끄러움을 드러내는 일이 결국에는 세계 평화에 기여할 거라 생각한다. 누군가는 내 이야기를 듣고 ‘나만 느끼는 감정인줄 알았는데, 아니네?’라며 자신의 고통에서 해방될 수 있을 테니까. 그 과정에서 내 슬픔 거리가 웃음으로 승화되기도 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