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이 되는 법>의 저자, 에밀리 와프닉은 자신의 저서에서 다양한 관심사와 열정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길을 구축해 나가는 사람들을 ‘다능인’이라 정의한다. 하고 싶은 게 많고 재능도 충분한 이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 동안 일을 적절히 분배해 즐겁게 수행한다. 한마디로 꿈도 많고, 호기심도 많으며, 하고 싶은 것은 더 많은 사람들!
여러 가지 일을 함께 하며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사람들을 본업에 집중하지 못한다거나, 한눈을 판다거나, 산만하다고 여기는 건 이미 오래전 일이다. 한 우물만 깊게 파는 것이 아니라 여러 우물을 만들어 저마다의 물을 맛보고, 한 우물이 말랐을 때는 다른 우물의 물로 보충할 수도 있는 것. 이것이 다능인만이 가진 특별한 능력이니까.
로스터리와 카페를 함께 운영하며 음악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DJ까지 겸하고 있는 ‘헬카페’ 대표 권요섭, 카페 브랜딩과 컨설팅 등 수많은 일을 동시에 해내는 ‘사물’ 대표 하지, ‘신촌문화관’을 포함해 무려 4개의 브랜드를 함께 전개하는 공동 대표 김수연·임상완에게 질문을 던졌다.
“어떻게 다능인이 되었나요?”
카페에서 음악이 정말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깨닫고 나서 다양한 장르와 LP에 관심을 갖게 됐어요. 꽤 많은 음반을 수집한 후에는 카페를 찾는 분들에게 좋은 음질로 음악을 들려드리고 싶어 최고의 LP 플레이어와 오디오 시스템을 구축했죠. 그렇게 2023년에 오픈한 곳이 서울 을지로의 ‘헬카페 뮤직’이에요. 한 건물 내에 카페, 레코드 바, 레코드 숍이 층별로 자리해,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무척 즐겨 찾는 장소가 됐죠.
매일의 플레이리스트를 무척 신중하게 고르는 편이에요. 어떤 곡도 허투루 틀고 싶지 않거든요. 넓고 깊은 세계 속에서 계속 새로운 곡을 디깅 하는 게 음악의 매력인 것 같아요. 2층 레코드 바와 3층 레코드 숍의 대표가 모두 지인이라 서로 좋은 곡을 권해 주고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피드백도 주고받아요. 같은 취미를 공유하는 지인들이 있어서 음악이 더 재미있게 느껴져요.
몇 년 전 지인의 바에서 디제잉을 했던 게 시작이었는데, 하면 할수록 매력적이더라고요. 아직은 또 다른 직업이라기보다는 깊은 취미에 가깝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척 잘 해내고 싶어요. 카페를 시작한 지 12년이 지났으니 이제 익숙해져서 다른 분야에 눈길을 돌린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여전히 로스팅을 할 때면 어렵고 긴장돼요. 그 스트레스를 음악으로 해소하고 있는 거죠.
카페 운영과 디제잉을 겸하다 보면 시간과 에너지가 꽤 많이 소모돼요. 그래서 저는 커피와 음악을 제외하고는 그 어떤 것에도 신경을 쓰지 않아요. 거의 집과 가게만 오가며 지내죠. 그래야 즐겁게 겸업을 할 수 있어요. 만약 새로운 일을 하고 싶다면 본업을 탄탄하게 안정시켜 놓은 후에 시작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요. 그렇지 않으면 둘 다 어중간해질 수 있거든요. 물론 정말 재미있다면 취미가 본업을 뛰어넘을 수도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