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에 단 하나의 꿈과 직업만 가지라는 법이 있을까? ‘아니’라고 몸소 답을 보여주는 용감한 사람들이 있다. 호기심, 열정, 의지와 더불어 재능까지 충만한 다능인들은 기존 직업의 틀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다. 분석, 기획, 설계, 제작, 운영 등 자신의 성향과 능력에 맞는 작업 프로세스를 체득해, 이를 다양한 업종에 적용한다. 여러 일을 결합해 나만의 직업을 만들거나, 다채로운 정체성으로 자신을 정의하기도 한다. 산업 간 경계가 흐려지고 협업이 왕성한 이 시대가 곧 다능인의 존재와 역할을 증명하는 것!

‘헤맨 만큼 내 땅’이라는 말처럼, 다능인은 도전한 만큼 자기 영토를 한 뼘씩 넓혀왔다. 이들의 양손에는 무엇이 들렸고, 배낭에는 어떤 물건이 담겨 있을까? 낯선 땅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힘은 어디에서 오는지, 나만의 주력 기술을 발전시키는 방법은 무엇인지, 그 무기를 하나씩 들여다보고자 한다. 

‘코사이어티’, ‘타운홀’ 등을 통해 일과 휴식의 대안적 공간 솔루션을 제시한 데 이어 최근 카페 ‘포틀러’로 F&B 시장에 새로 진입한 언맷피플의 공동 대표 이민수·위태양, 성우이자 아나운서, 요가 강사, 댄스 강사 등 무려 7가지 직업을 가진 이다슬, 낮밤에 따라 촬영 감독과 바텐더로 유연하게 변신하는 에프온스튜디오 대표 조은기에게 질문했다. 

“다능인으로 살아가는 비결이 무엇인가요?”

이민수 언맷피플을 창업하고 지난 5년 동안 정말 다양한 분야를 섭렵했어요. 코사이어티 서울숲, 제주 코사이어티 빌리지, 타운홀, 포틀러 등을 론칭하며 건축, 부동산, 숙박, 문화, 식음 업계에 이르기까지 매번 새로운 업종에 과감하게 뛰어들었죠. 코사이어티 서울숲을 본진으로 삼되, 각 브랜드를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모듈화함으로써 더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어요. 개별 브랜드는 고유의 개성과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서로 다른 취향의 고객들을 포용하고 있죠.

워낙 많은 정보를 처리하다 보니 글보다는 시각화 작업을 더 선호해요. 뒤죽박죽 섞이고 흩어진 개념들을 시각적으로 분류하고 정리하죠. 흐릿한 생각을 텍스트로 옮기면 많은 부분이 사라지기도 하거든요. 보통 스케치나 그림처럼 무형적인 형태로 자유롭게 남겨 둡니다. 나중에 그 흔적을 보면 당시의 생각과 느낌이 총체적으로 떠올라요.

위태양 최근 일하는 문화에서 가장 큰 화두는 건강한 충돌이 사라졌다는 점이에요. 근무 유연도가 높아지고 원격 근무가 늘어나면서 나타난 현상이죠. 저희는 개인화된 공간에 적절한 충돌을 만들어내고 싶었어요. 그리고 ‘사람들을 어떻게 모을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으로, 판교의 성장하는 기업들이 모여 일에 대해 소통할 수 있는 브랜드 타운홀을 론칭했죠.

저에게 건강한 충돌이란, 사람들과 스몰 토크를 나누며 정신적으로 환기하는 일이에요. 무거운 주제를 가볍게 만들어 대화하면 스위치가 잠시 꺼지는 것 같거든요. 물론 이것도 일의 연장선이지만요. 일을 제때 완수하고 싶을 땐 데드라인을 설정해 보세요. 마감 기한만큼 창작자에게 강력한 원동력이 있을까요? 오직 데드라인만이 저를 움직이게 합니다(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