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래식 음악을 지속하는 힘
클래식 음악의 세계는 측량할 수 없는 심해처럼 깊고 넓다. 평생을 바쳐도 현존하는 피아노 작품을 한 번씩 연주해 보는 것조차 불가능할 만큼. “아무리 위대한 연주도 작품 그 자체의 위대함을 뛰어넘을 수는 없다”는 말처럼, 창작자가 아닌 연주자로서 늘 경외감을 품고 겸손하게 임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클래식 음악을 사랑하기에 이 일을 계속 이어갈 수 있는 것 같다.
내 인생 첫 번째 클래식
처음으로 좋아한 클래식 음악은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2번의 3악장이다. 어린 시절, 정확히 어떤 곡인지도 모른 채 라디오에서 우연히 듣고 사랑에 빠졌다. 돌이켜 보면 단순히 선율이 가슴 깊이 박혀서였던 것 같다. 다시 듣고 싶었지만 곡명을 알지 못해 한참을 찾았던 기억이 난다. 이 곡을 들을 때면 언제나 황혼으로 붉게 물든 갈대밭의 이미지가 떠오른다. 이유는 아직도 알 수 없지만.
현실을 잊게 해주는 시간
클래식 음악이란 수백 년을 거쳐 현재까지 살아남아 우리의 마음에 닿은 것이다. 아주 오랜 시간을 축적한 음악만이 줄 수 있는 힘이 있다고 생각한다. 한편으로 클래식 음악은 우리와 시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기에 현실 세계를 차단해 주는 효과가 있다. 모차르트가 쓴 미사곡 <구도자의 엄숙한 저녁기도>(K.399) 중 5번째 곡 ‘주를 찬미하라’가 나에게 그런 음악이다. 종교인은 아니지만 이 곡을 듣는 순간만큼은 현실을 잠시 잊게 된다.
‘솔티클래식’의 시작
‘클래식을 좀 더 재미있게 전달할 수 없을까’라는 고민을 하던 어느 날, 식사를 하다가 ‘감칠맛’이라는 단어를 클래식 음악에 적용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떤 훌륭한 요리도 ‘간’이 가장 중요한 것처럼, 클래식 작품과 작곡가에 얽힌 재미있는 일화를 짭조름한 양념처럼 더한다면 클래식 음악을 훨씬 재미있게 즐길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뉴스레터의 이름을 솔티클래식(Salty Classic)이라고 지었다. 2020년부터 5년간 뉴스레터를 발행했고, 이를 엮어 <클래식 비스트로>라는 책으로 출간했다. 현재 솔티클래식은 잠시 휴식기에 들어갔는데, 클래식을 더 많은 이들에게 흥미롭게 전달할 방법을 고민 중이다.
가볍게 흘려들으며 탐색하기
누구에게나 좋아하는 음식, 책, 노래 등이 있기 마련이다. 그 계기를 물어보면 대부분 우연히, 어쩌다, 혹은 누군가의 추천으로 접하게 된 경우가 많다. 클래식 음악을 알아가는 것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우연히 듣거나 누군가 추천해 준 음악 중 마음에 와닿는 곡이 있다면, 그 곡을 자주 들으며 자연스레 취향을 쌓아가는 게 아닐까. 가요 차트나 플레이리스트를 가볍게 클릭하듯, 클래식 음악도 부담 없이 한번 들어보길 권한다. 연주가 길게 느껴지면 쭉쭉 넘기며 들어도, 한 악장만 들어도 괜찮다. 그러다 보면 어느 순간 내 취향에 딱 맞는 곡을 만날지도 모른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그런 곡들이 분명히 존재할 것이라는 열린 마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