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성심당’ 빵을 사기 위해 일부러 대전을 찾는 일이 낯설지 않다.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프랜차이즈 체인점이 아닌, 그 지역에 뿌리내린 작은 서점, 빵집, 카페, 옷가게, 문구점에 우리는 자주 마음을 빼앗긴다. 여행할 때도 골목 구석구석을 거닐며 낯선 일상에 스며들고 싶어한다. 로컬(현지인)처럼 여행하는 순간만큼은 새로운 삶을 상상할 수 있으니까!
이는 비단 여행자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그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가는 주민에게도 로컬 커뮤니티의 존재는 매우 중요하다. 한곳에 태를 묻고 또 다른 씨앗이 자랄 수 있도록 양분을 주며 함께 성장하는 사람들. 이들이 이룬 작은 생태계 안에서 다양성이 피어나고, 이러한 커뮤니티가 많아질수록 우리의 삶은 더욱 풍요로워진다.
대구는 ‘대프리카’라는 더운 지역의 이미지를 넘어, 다채로운 자생 브랜드가 가득한 도시다. 중구에 위치한 근대문화골목을 반나절만 거닐어도 깨닫게 된다. 근대 문화예술이 태동한, 역동적인 생명력을 지닌 도시라는 사실을. 이러한 문화적 유산을 바탕으로 대구에는 개성 강한 로컬 브랜드들이 당당히 포진하고 있다. 이들은 어떻게 지역의 특색을 살려 성장할 수 있었을까? 로컬 커뮤니티와 연결되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대구를 대표하는 시그니처 굿즈 ‘대구 티셔츠’를 탄생시킨 ‘이플릭’의 윤동원 대표, 사회 문제와 대중적 인식 사이의 거리를 좁혀온 ‘레인메인커협동조합’ 이만수 대표, 대구 최초의 제로 웨이스트 숍이자 비건 레스토랑을 운영하는 ‘더 커먼’의 강경민 대표에게 그 노하우를 물었다.
“로컬 커뮤니티와 함께 성장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이플릭을 시작한 건 2015년이었어요. 당시만 해도 스트리트 패션 매장은 대부분 서울에 집중되어 있었는데요. 예를 들어, 제가 관심 있던 ‘베리드얼라이브’ 같은 브랜드의 티셔츠를 입어보고 싶으면, 지금은 사라진 압구정동의 편집숍 ‘휴먼트리’까지 가야 했죠. 결국 좋아하는 브랜드와 관심사를 한곳에 모아보기로 결심했고, 제가 나고 자란 대구에 직접 매장을 열게 되었어요.
‘DAEGU’라는 단어가 프린팅된 대구 티셔츠는 원래 판매용이 아니었어요. 오픈 1주년을 기념해 지인과 래퍼 친구들에게 선물하려고 만든 거였죠. 그런데 별다른 생각 없이 올린 SNS 사진에 ‘팔아주세요’라는 댓글이 쏟아졌고, 제작한 물량이 다 판매될 정도로 반응이 뜨거웠어요. 이후 매년 다른 컬러의 그래픽으로 출시하고 있는데, 내년에는 10주년을 맞아 처음 디자인한 블루 컬러를 다시 선보일 예정이에요. 꼭 대구 분들이 아니더라도, 뉴욕의 ‘I ❤ NY’ 티셔츠처럼 기념품으로 구매하시곤 해요.
다양한 로컬 브랜드와 협업을 활발히 이어가고 있어요. 대표적으로 대구FC와 함께 대구 티셔츠를 두 번 제작했죠. 언젠가는 어릴 때부터 팬이었던 삼성 라이온즈와도 협업해보고 싶어요. 대구 대표 막걸리인 ‘불로’와 팝업 행사를 열었을 땐 교동의 전집 ‘초장’에서 안주를 공급받으며 대구 기반의 로컬 DJ와 행사를 진행했고요. 이플릭은 단순히 물건을 판매하는 편집숍을 넘어, 다양한 문화 행사를 열고 지역 주민과 소통하는 공간으로 자리잡고 있어요.
어느덧 10년차 중견 브랜드가 되다 보니, 이제는 신생 브랜드가 성장할 수 있는 허브 역할로 변화하는 중이에요. 매장 옆에 팝업 공간을 마련해 작은 브랜드에게 홍보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대구 청소년 40명이 발행한 독립 출판물을 소개하는 전시 공간을 무료로 지원하기도 했죠. 만약 대구 지역 친구들이 이 기사를 읽고 관심이 생긴다면 편하게 연락해도 좋아요(웃음). 또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협력해 매년 달력을 제작하고, 수익금 전액을 기부하고 있어요. 이제 막 시작하는 젊은 브랜드와 창작자를 서포트하며 지역 사회와 연결하는 데 힘 쓰고 싶어요. 모두가 다같이 잘되면 좋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