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을 통해 쌓은 다양한 관점
패션 브랜드, 백화점 유통, 부동산 컨설팅 등 여러 분야에서 경력을 쌓으며 다양한 관점을 갖게 됐다. 자산 운용사, 증권사, 시행사를 비롯한 투자사에서는 경제·금융·건축 분야의 전문가들이 주로 활동한다. 이는 부동산을 투자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백화점, 브랜드와 같은 라이프스타일 산업에서는 부동산을 ‘콘텐츠를 발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여긴다. 양쪽 분야에서 경험을 쌓아온 나에게 부동산은 투자의 대상인 동시에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발판이다. 다양한 관점을 가진다는 것은 더 많은 가능성을 알아보는 눈을 갖는다는 뜻이기도 하다. 

지리적 핸디캡을 극복하는 힘  
토지와 건물을 전략적으로 매매해 승리를 거두는 게임 ‘부루마불’을 떠올려 보자. 이 게임 속에서 가장 비싼 땅이 ‘서울’이고, 나라별로 땅 가격이 다르다는 사실을 기억할 것이다. 왜일까? 부동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입지’이기 때문이다. ‘강남불패’라는 말 역시 강남이라는 입지를 그 어느 곳도 대체할 수 없기에 생겨났다. 하지만 입지가 전부는 아니다. 그토록 중요한 입지의 한계를 뛰어넘는 존재가 바로 ‘브랜드’다. 인적 드문 골목, 심지어 깊은 산골짜기라도 원하는 브랜드가 있다면 언제든 찾아갈 수 있는 시대. 좋은 브랜드는 어디에 위치하든 사람들의 발길을 이끈다. 브랜드의 방향성과 성격 그리고 부동산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불리한 입지에서도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 

무엇을 보여줄 것인가?
불리한 입지 조건을 극복한 브랜드에는 뚜렷한 장점과 목적, 목표가 있다. 브랜드가 공간을 통해 무엇을 이루고자 하는지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면 모든 의사 결정이 수월해진다. 예를 들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어니언 광장시장점이 일반적인 카페 형태를 띠었다면 지금처럼 큰 파급력을 얻지 못했을 것이다. 이곳은 무더운 휴양지의 노점상을 연상시키면서도, 현대적이고 감각적인 공간을 연출한다. 재래시장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개방형 매장이 ‘시장다움’을 잘 표현했기에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 장소를 정하기에 앞서 브랜드의 ‘목적’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다. 브랜드는 홍보, 매출, 경험 등 무엇을 가장 중점적으로 보여줄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알짜배기 공간 찾기
좋은 공간을 찾는 유일한 방법은 ‘발로 뛰는 것’이다. 하지만 자본이 부족하다고 무작정 이곳저곳을 둘러보기보다는 상권의 끝자락을 탐색해 보기를 권한다. 상권은 중심지에서 점점 넓게 퍼져 나가는 경향이 있다. 활성화한 상권의 끝자락에는 조금 더 합리적인 가격의 공간이 존재할 확률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