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명
버금메이킹(Vergum Making)
의미
정연중이라는 내 이름에서 ‘중’의 한자가 ‘버금 중’ 자다. ‘버금’에는 ‘버금간다’는 말처럼 으뜸이 될 수 있지만 겉으로는 으뜸이지 않은 척하는 태도가 담겨 있다. 이 개념이 한국의 미와 잘 어울린다고 여겨 ‘버금’이라는 디자인 스튜디오를 창업했다. 버금메이킹은 버금의 디자인을 제품으로 구현하는 브랜드라는 의미로, 그 뒤에 ‘메이킹’을 붙였다.
탄생 시기
2022년 여름
핵심 가치
유머를 담은 현대적인 굿즈를 통해 우리 문화의 전통을 오래 이어가는 것.
브랜드 준비 초기에 가장 많이 했던 질문
Q. 이것이 가치 있는 일인가?
스스로 소모된다고 느끼는 일 외에 디자이너로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고민했다. 브랜드를 통해 ‘이 일이 가치 있는 일인가?’ 그리고 ‘어떤 비전이 있을까?’에 대한 답을 찾으려 애썼다.
성장 포인트
버금메이킹의 첫 번째 제품이자 대표 상품인 ‘굿럭피쉬’의 성공. 액막이 명태를 현대적인 미감과 기능으로 재해석한 제품으로, 현관문이나 냉장고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뒷면에 자석을 붙여 편의성을 높였다. 리움미술관 스토어에서 론칭한 후 입소문을 타고 큰 인기를 얻으며 대량 생산 체제를 구축했고, 이는 브랜드 성장의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버금메이킹을 시작하기 전에는 어떤 일을 했나요?
저는 시각 디자인을 전공하고 인테리어 회사에서 3년, 이후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10년간 일했습니다. 주로 클라이언트의 의뢰에 따른 작업 위주였지만, 언젠가 나만의 브랜드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을 늘 갖고 있었어요. 그렇게 시작한 디자인 스튜디오 ‘버금’도 벌써 15년이 되었네요. ‘버금메이킹’은 버금에서 진행한 디자인을 제품으로 만들어내는(making) 브랜드예요.
독립할 결심을 하게 된 계기가 있을까요?
클라이언트 작업은 기본적으로 정해진 예산 안에서 진행되다 보니, 일이 늘어나면 인력만 더 필요해지는 구조였어요. 또 대중의 반응을 직접 확인하기 어렵기도 하고,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느낌이 들었죠. 버금에서는 주로 국립박물관, 고궁박물관, 민속박물관 등과 협업하며 한국 문화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상품 디자인 작업을 진행해 왔는데요. 이러한 경험을 통해 버금메이킹의 방향성도 자연스럽게 형성되었어요.
그 방향성이란 무엇이었나요?
한국 문화와 관련된 작업을 다루면서 깨달은 게 한 가지 있어요. 우리나라도 오래전부터 디자인을 해왔지만, 그것을 디자인이라고 부르지 않았을 뿐이라는 점이죠. 금관이나 한복이 매우 훌륭한 디자인인 것처럼요. 서구권이 ‘디자인’이라는 용어를 선점했지만, 디자인의 본질을 독점한 건 아니에요. 이 사실을 이해하면서 ‘왜 내가 살아본 적도 없는 북유럽이나 서유럽의 디자인을 따라 해야 할까?’라는 의문이 들었고, 전통 시각 자료를 더 많이 찾아보기 시작했어요. 한국인으로서 우리의 문화를 기반으로 디자인 작업을 하는 일이 보다 의미 있고 효율적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죠.
버금메이킹의 대표 아이템인 굿럭피쉬의 탄생 스토리가 궁금해요.
이전까지 저희가 선보인 작업은 조상들이 남긴 유물을 도록이나 포스터, 미니어처 형태로 재현하는 방식이 많았어요. 특히 반가사유상 미니어처가 인기를 꽤 끌었죠. 그런데 아무리 잘 팔려도 ‘내 것이 아니다’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우리만의 것을 만들어내고 싶다는 갈증이 생긴 거죠. 그때 떠오른 아이디어가 ‘액막이 명태’였어요. 저는 강원도 영월 출신인데, 명태가 대들보에 걸려 있는 모습은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었거든요. 명태는 다른 말린 생선과는 달리 뭔가 ‘에지’가 있었어요(웃음). 어린 시절의 그 기억을 바탕으로 시작되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