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사원에서 유학생으로
디자이너에게 유학은 반드시 한 번쯤은 고려하게 되는 이벤트다. 나 역시 디자이너라는 꿈을 꿀 때부터 막연하게 유학의 꿈을 갖고 있었다. 스스로의 디자인 스킬이 부족하다 느껴질 때면 ‘한국에서만 공부했기 때문인가’ 싶었고, 자신감이 붙었을 즈음엔 ‘해외에 나가도 잘하는 축에 속할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근무 중인 회사가 글로벌 프로젝트를 주로 하는 곳이라 절반 이상의 선배들이 모두 유학을 다녀온 소위 ‘유학파’ 출신이었고, 그들이 생각하는 방식과 일하는 모습에 자극을 받은 것도 영향을 줬다. 환경으로부터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이라 여긴다. 때마침 회사에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해외 석사를 위해 연수 휴직을 할 수 있는 제도가 있었고, 그 제도를 알게 된 순간부터 언젠간 유학을 떠나리라 다짐했다.
커리어에 유학을 더하기
커리어에 갭이 생긴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 오히려 커리어에 유학의 경험이 더해진다고 생각했다.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당시에는 ‘유학’이라는 사건이 내 삶을 통째로 뒤바꿀 결정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삶이 시작되는 것처럼 느껴졌다. 어떤 기회를 잡게 될지, 어떤 사람을 만나게 될지 모르니 새로운 버전의 내가 되어야겠다는 생각뿐이었다.
졸업생은 나의 미래
내가 가고 싶은 학교의 정확한 정보를 최근에 그 학교를 졸업한 이보다 더 많이 갖고 있는 사람은 없다. 학교 홈페이지의 소개 글만으로는 실질적인 정보를 얻기 힘들다고 생각했기에 인스타그램에서 실제로 그 학교를 졸업한 사람들을 찾아내 DM을 보냈다. 같은 학교에 지원하려고 하는데 만나서 직접 이야기를 듣고 싶다고. 놀랍게도 그 누구도 거절하지 않았다. 지금 생각해 보면 정말 감사한 일이다. 그들에게 전해 들었던 솔직한 이야기 덕분에 학교를 선택하는 데에 정말 큰 도움을 받았다. 어디서도 얻지 못할, ‘필터링’ 없는 ‘진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으니까.
나에게 던진 질문
내 인생에서 만족스러운 부분은 무엇이고, 불만족스러운 부분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 볼 것을 권한다. 나의 경우 만족스러운 부분은 대기업의 연봉과 복지 혜택이었고, 불만족스러운 부분은 혹시 내가 지금보다 더 잘할 수 있는데 스스로에게 기회를 주지 않아 그것을 놓친 것은 아닐까에 대한 불안함이었다. 불만족스러운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지금의 만족스러운 부분을 포기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스스로 질문했다. 평생 품고 살지도 모를 감정을 해결하기 위해 2년간의 또 다른 불안을 감수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배우기 위해 떠나는 일
업무의 심화 과정을 배우러 간 것이 아니라 학문을 배우러 간 것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물론 분야에 따라, 유학 간 나라와 학교에 따라 다르겠지만 학교에서 배우는 것들은 실무와 비교하면 때로는 시간 낭비처럼 보이거나 불필요하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업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스킬을 배우고 싶다면 찾아가야 할 곳은 학교가 아니다. 회사에서 배울 수 있는 것들을 학교에선 배울 수 없듯이, 학교에서만 배울 수 있는 것은 회사에선 배울 수 없다. ‘아, 이걸 이렇게 하는 거 아닌데’라는 자세보다, ‘오, 이걸 이렇게 할 수도 있구나’의 자세가 배움을 흡수하는 데에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