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LINE]
[00:26-00:42] 나의 첫 러닝
[00:43-01:01] 달리며 성장하는 기분
[01:02-01:36] 내 몸에 맞는 달리기
[01:55-02:20] 달리기를 기록하다
[02:21-02:45] 향상심을 잊지 말자!
“달리기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전혀 대단하지 않아요. 이별을 겪고 집에 가만히 앉아 있는 게 힘들어서 ‘뭐라도 해볼까?’ 하며 했던 게 달리기였던 거죠. 그런데 그날은 달리는 행위가 너무 생경하게 느껴지더라고요. 이전까지의 달리기는 전부 목적지를 향한 수단으로서의 달리기였는데, 처음으로 달리기가 목적 그 자체가 된 거예요.”
누구나 살아가며 마법 같은 순간을 맞이한다. 마케터 김상민에게는 달리기를 위해 달렸던 첫 경험이 그러한 순간으로 남았고, 그로부터 8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매일같이 달리고 있다. 그런 그가 달리며 알게 된 몸은 그전에 알던 것과 달랐다. 엄지발가락부터 발등까지 자꾸만 물집이 잡혀 병원에 갔을 때, 땅에 발 안쪽이 가장 먼저 닿는 ‘과내전형 러너’임을 알게 된 것이다.
“달리다 보니 내 몸이 어떤 메커니즘으로 움직이는지 하나둘 알게 되는 게 신기하기도 하고 즐겁기도 해요. 저는 스스로를 ‘외콧구멍 러너’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남들보다 코의 위쪽 뼈가 두꺼워서 드나드는 공기량이 남들의 절반밖에 안된다고 하더라고요. 호흡을 통해 회복을 해야 하는 러너에게는 아주 치명적인 단점인 셈이죠.”
한때는 자신이 ‘외콧구멍 러너’라는 사실에 우울감을 느끼기도 했다. ‘러닝을 그만둬야 하는 건가’ 좌절하기도 했지만, 곧 생각을 고쳐먹었다. 이런 핸디캡을 안고도 꾸준히 달렸고, 풀코스 마라톤까지 완주했다는 건 ‘그래도 하면 된다’는 뜻으로 다가왔다. 비단 달리기를 할 때뿐만 아니라 인생 전체를 바라보는 관점이 긍정적으로 바뀌었다. 건강한 몸이 건강한 마음을 만든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