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고난 감각과 성정을 한순간에 바꾸기는 어렵다. 그래서 태생적으로 예민한 기질을 타고났거나 감각이 유난히 발달한 사람들은 오히려 그 능력을 자유롭게 펼치고 깊이 파고들 수 있는 분야에서 자신의 천성을 강점으로 승화시키곤 한다.

자유로운 형태의 구조물과 캐릭터를 여러 재료와 방식으로 풀어내는 차인철 작가, 패션을 기반으로 콘텐츠, 출판, 전시 등 다방면에서 재능을 발휘하는 더 프레이즈 김누리 대표, 꽃과 나무의 자연스러운 조화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내추럴리내추럴의 박동제・임다연 대표는 세심하고 민감한 감각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새로운 프로젝트를 마주할 때마다 타고난 감각의 레이더를 적절히 활용하며 크나큰 희열과 성취감을 느낀다. 

자신만의 기민한 감각과 능력을 명민하게 자각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줄 아는 이들에게 예민함은 더 이상 양날의 검이 아니다. 언제,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무한히 반짝일 수 있는 원석이자, 잘 다듬어진 도구가 된다. 그렇다면 이 질문을 지나칠 수 없다. 

“자신의 타고난 감각을 어떻게 장점으로 만들었나요?”

대학에서 제품과 공간 디자인, 텍스타일 등 다양한 분야를 배우며 폭넓은 재료와 제작 과정을 두루 습득했어요. 덕분에 그래픽 디자인부터 일러스트레이션, 회화까지 여러 표현 방식을 과감히 실험할 수 있었죠.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는 것은 앞으로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자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 그래야 그에 맞는 새로운 감각을 발휘할 기회가 생기니까요. 

그래픽 디자인을 기반으로 디지털 아트 작업을 선보이며 패션, 전자, 테크, F&B 등 여러 브랜드와 협업해 왔어요. 최근에는 올리브영과 ‘올영 세일’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개인적으로도 결과물이 무척 만족스러웠죠. 지난해에는 오랫동안 준비한 아트워크 작업으로 개인전을 열었어요. 처음에는 온라인이 아닌 캔버스에 작업하는 것이 생소하고 어렵게 느껴졌는데, 작가로서 새로운 영역을 구축할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해요. 이를 통해 예술의 범위를 더욱 확장할 수 있었고, 자신감도 많이 얻었죠. 

현재의 작업을 위해서는 다양한 감각과 아이디어가 필요해요. 이를 위해 몸과 마음의 상태를 늘 올바르고 평온하게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모든 감각은 결국 제 안에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일상이 흔들리거나 불편해지면 원활한 작업이 어렵거든요. 그래서 잘 먹고, 잘 자는 평범한 하루 루틴을 규칙적이고 건강하게 유지하려 해요. 

최근에는 디자이너와 아티스트로서의 작업을 병행하느라 고민이 많았어요. 그러다 일부러 SNS와 조금 거리 두기를 시도했더니 점차 마음이 고요해지고 건강해지는 걸 느꼈어요. 이전에는 제가 하는 작업이나 추구하는 스타일을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어필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갖고 있었거든요. 누군가와 저를 비교하며 조바심을 내기도 했는데, 전혀 그럴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죠. 불필요한 걱정을 덜어내니 더욱 편안하게 자신에게만 집중할 수 있었어요. 내 안의 에너지와 타고난 감각을 고유한 장점으로 받아들이자 자존감이 높아지고 오히려 더 자유로워진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