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LINE]
[00:00-00:34] 또 다른 차원의 동료애
[00:35-01:12] 프리 에이전트로의 발돋움
[01:13-01:53] 부티크 브랜딩 에이전시 하티핸디
[01:54-02:36] 새로운 방식으로 일하기
[02:37-02:53] 더 좋은 세상을 만드는 일
손꼽힌과 황다검은 각자의 확고한 영역을 만들어가는 직업인이었다. 마케터 손꼽힌은 ‘인생학교 서울’, ‘JOH’, ‘FLO’, ‘맹그로브’ 등 교육, 문화, 음악, 주거 등 라이프스타일 분야의 브랜드를 두루 거쳤다. 개인과 조직이 맞물려 성장했다. “브랜드의 론칭부터 알려질 때까지 과정 전반을 함께한 뒤에는 혼자서 해보고 싶다는 확신이 들었어요.”
마케터 컬렉티브 ‘포스트웍스’와 다능인을 위한 커뮤니티 ‘사이드’에서의 활동은 무한한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회사 밖에서도 얼마든지 동료를 찾을 수 있고, 좋아하는 일을 재미있게 할 수 있다는 깨달음을 얻었어요. 그때의 가능성이 현재의 일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요.” 그는 독립적으로 일하며 작년에는 서로 다른 일을 하는 동료들과 함께 커뮤니티 오피스 ‘뉴오피스’도 열었다.
황다검은 일상력에 대해 이야기하는 작가 ‘무과수’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보통의 일상 속에서 행복의 조각을 모은다. 고유한 시선과 취향은 꾸준한 기록을 통해 내면을 깊이 탐구하면서 생긴 것이다. 나라는 단단한 뿌리로부터 일, 창작, 강연 등 여러 갈래의 가지가 뻗었다. 그는 일과 딴짓의 경계를 허물고 버무려지는 삶을 산다.
작년 말 그는 오랫동안 몸담았던 첫 직장 ‘오늘의집’을 떠났다. 회사 생활은 즐거웠지만, 20대에서 30대로 넘어가는 시점에 새로운 챕터를 열고 싶었다. “독립을 결정했을 때 제가 좀 더 잘 쓰일 수 있는 방법으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어요. 좋아하는 일을 자유롭고 재미있게 지속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많이 고민하고 있어요.”
두 사람의 인연은 2020년에 시작되었다. 주거를 비롯해 공통의 관심사가 많았고 취향도 잘 맞았다. 활발히 교류하면서 같이 하고 싶은 일도 늘어났다. “평소에 다양한 주제로 대화를 하다가 ‘언젠가 같이 일하게 되면 너무 잘할 것 같다’는 이야기도 많이 했어요. 자연스럽게 적절한 때가 찾아왔고요.” 그렇게 둘은 ‘따로 또 같이’ 일하는 실험으로서 부티크 브랜딩 에이전시 ‘하티핸디’를 결성했다.
하티핸디라는 이름에는 다정하고 유용한 파트너가 되겠다는 마음가짐이 담겨 있다. 이들은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실질적인 기여를 하는 브랜드와 함께한다. “주거에 대한 생각은 좋은 삶은 무엇인지에 대한 것으로 이어졌어요. 궁극적으로 좋은 세상을 만들고 싶다는 결론에 이르렀어요.” 각자의 장점과 역할에 따라 색다른 직함도 붙였다. 프로젝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핸들링하는 ‘핸들러’와 브랜드가 무럭무럭 자랄 수 있도록 돕는 ‘가드너’가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