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LINE]
[00:00-00:23] 리추얼이란?
[00:24-01:14] 일상이 된 리추얼
[01:15-01:40] 매일 밤 하는 리추얼
[01:41-02:23] 밑미와 밑미홈
[02:24-02:41] 매일 나를 만나는 일

우리는 자주 나를 잊는다. 누가 정한지도 모르는 사회의 속도에 맞추기 위해 무리하다가 금세 에너지를 소진한다. 전 세계의 타인과 쉽게 연결될 수 있는 요즘 시대에는 남의 욕망을 내 것이라고 착각하기 더더욱 쉽다. 그렇게 다람쥐 쳇바퀴 돌듯 살다가 불현듯 의문이 든다. ‘나 괜찮은 건가?’, ‘무엇을 위해 열심히 달린 걸까?’ 손하빈 대표도 그랬다.

“첫 직장 IBM에 들어갔을 때는 사회적으로 좋은 타이틀이나 다른 사람들이 부러워할 만한 것을 추구했던 것 같아요. 그런데 내가 원한다고 생각했던 것을 손에 넣을수록 공허했어요. 이후 에어비앤비로 이직하면서 진짜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자신만을 위한 시간에 집중하는 친구들을 많이 만나게 됐어요.”

당시 에어비앤비는 잘 알려지지 않은 스타트업이었기에 주위의 반대도 많았다. 하지만 그는 처음으로 내면의 목소리에 더 귀를 기울였다. 예감은 틀리지 않았다. 마치 물 만난 물고기처럼 신나게 일했다. 뒤도 돌아보지 않고 열심히 달리다 보니 한순간 피로감이 몰려왔다. 번아웃이 찾아온 것이다. 그때 심리 상담을 통해 처방 받은 해결책이 바로 ‘리추얼’이다.

“심리 상담사님이 감사 일기를 추천했어요. 일상에서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의식적인 활동, 바로 리추얼이죠. 매일 아침 감사 일기를 썼더니 기분이 좋아지면서 성취감이 들었어요. 하나씩 리추얼을 늘려나가면서 스스로를 보살폈어요. 내가 괜찮은 사람이라는 감각을 조금씩 찾았죠.”

4년 전부터는 매일 밤 인문학 책을 읽고 감정 일기를 쓴다. 20분간 나에게 질문을 던지는 책을 읽고 10분간 오늘 있었던 일과 나의 감정을 검열 없이 솔직하게 적는다. 한 달이 지나고 내가 썼던 일기를 다시 읽으면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된다. 생각의 패턴을 발견하며 비로소 진짜 나를 마주한다. 리추얼의 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