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큐레이터 집단.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많이 떠올린 질문
Q. 제약 없이 오롯이 나만의 기획을 펼쳐보일 순 없을까?
송고은 하나의 주제의식을 가진 신생 큐레이터들의 공간이 생겼다가 2~3년 내에 사라지는 일이 너무 많았다. 대관이 아닌, 자신만의 공간을 가지고 마음껏 기획을 펼칠 수 있는 공간이 큐레이터들에게 너무나 필요하다.
일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장혜정 어떻게 각자 큐레이터의 개별성을 유지할 것인가? 우리는 하나의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을 지양한다.

웨스(WESS)는 장혜정, 송고은 두 큐레이터가 함께 시작한 집단이자 전시 공간입니다. 이름은 무슨 뜻인가요?
장혜정 ‘WE Show Separate’의 앞글자를 따서 만들었어요. 해외에서는 큐레이터들이 함께 운영하며 전시를 보여주는 공간이 많은데, 국내에는 그런 경우가 드물었어요. 작가들에 비해 큐레이터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은 찾아보기 힘들거든요. 동료들끼리 모여 개인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과 시스템을 생각했죠.
송고은 콜렉티브라는 이름으로 하나의 가치관을 이뤄내려는 모임은 지양해요. 콜렉티브는 2~3년 지나며 쇠퇴하는 경우를 많이 봐왔거든요. 좀 더 지속가능한 프로젝트로 남기를 원했어요. 모든 환상은 뒤로하고, 공유 오피스 같은 개념으로 시작했죠.
다른 멤버들은 웨스에 합류할 때 이런 고민에 공감하셨던 건가요?
이성휘 저는 지금까지도 다소 관조하는 입장이에요. 그럼에도 참여한 이유는 동일한 직종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에요. 큐레이터로서 활동하며 동료라고 생각했던 사람들은 주로 작가들이었어요. 정작 속 깊은 얘기들을 하고 지내는 사이의 큐레이터는 없었죠. 전시 기획의 경우 사실 학교에서 제대로 배우기 어렵거든요. 직업으로 삼은 후 상하관계에서 배우는 게 전부죠. 동료들로부터 배우고 싶었어요.
김성우 전시 관람객들은 결국 작가와 작업을 봐요. 큐레이터가 판을 짜고, 엄청나게 많은 생각을 하고, 펀딩도 하는데 말이죠. 미술계 안에서는 큐레이터가 너무 잘 보이는데 관람객 입장에서는 안 보이는 거예요. 큐레이터들끼리 작은 공간에 모여 실험할 수 있는 공간, 서로 이야기할 기회만 생기길 바랐어요.
이규식 처음 제안 받았을 때 이미 웨스가 2년 정도 운영되는 걸 지켜본 시점이었기 때문에 큰 고민 없이 응했어요. 거절할 이유가 없었죠. 제게도 전시를 기획하고 보여즐 공간이 너무 필요했으니까요.
신지현 큐레이터는 섬처럼 일하는 직업이에요. 각자 기획을 마음껏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자, 외부에서 흥미로워할 기획이 연속해서 열리는 공간을 운영해보자는 이야기가 제 마음을 끌었어요. 멤버의 다음 전시가 무엇일지 항상 궁금해하는 마음이 혼자 자연스럽게 생겼어요. 가끔은 비판적 시선으로 바라보고, 가끔은 감동받지요.
웨스에는 현재 총 11명의 멤버가 있습니다. 꼭 11명이어야 하는 이유가 있었나요?
장혜정 공간에 대한 생각이 먼저였어요. 사대문 안은 아니더라도 서울의 중심지이기를, 어느 정도 작은 규모의 전시라도 모자람 없이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이기를 바랐거든요. 각자 부담 없이 지속적으로 월세에 쓸 수 있는 금액과 지역 시세를 비교해 계산하니 10명에서 12명 사이라는 숫자가 나왔어요. 그 즈음 이곳의 임대 공고도 나왔고요. 나선형 계단이 마음에 들었고, 교통도 좋았죠. 월세도 적정 수준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