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 불렛 저널을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나요?
19세 때부터 기록하는 걸 좋아했어요. 다양한 다이어리와 플래너를 사용했는데 제 마음에 쏙 드는 게 없었어요. 그러던 중 3년 전 유튜브를 통해 불렛 저널을 알게 되었습니다. 자신이 필요한 형식을 만들어 한 권의 노트를 구성해 사용하는 방식에 매력을 느꼈어요. 일정 관리뿐만 아니라 일기, 스크랩, 자료 정리 등등 내게 필요한 구성을 원하는 디자인으로 구현해 만들 수 있거든요.
기록을 위한 앱도 많은데 아날로그 기록을 선택한 이유가 있나요?
디지털 기록은 오히려 준비할 게 많아요. 기본적으로 충전된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등이 있어야 하고, 해당 앱의 조작 방법도 익혀야 하죠. 여러 앱을 함께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고요. 하지만 아날로그 기록은 노트와 펜 두 가지만 갖추면 바로 시작할 수 있어요. 특히 불렛 저널은 정해진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자율성이 높으므로 어떻게 페이지를 구성하는지에 따라 효율성도 높아질 수 있어요. 무엇보다 10년이 지나 보아도 처음 썼던 그대로 보존된다는 장점이 있죠.
루시아 님은 어떤 항목으로 불렛 저널을 구성했나요?
올해 불렛 저널은 크게 연간 달력인 ‘퓨처 로그’, 일 년 동안 하고픈 일을 담은 ‘위시리스트’, 오늘의 감정을 그래프로 표현한 ‘무드 트랙킹’, 월간 계획과 한 줄 일기, 월 리뷰 등이 포함된 ‘먼슬리 로그’, 주간 일정표인 ‘위클리 로그’와 하루 일과를 담는 ‘데일리 로그’ 등으로 구성했어요.
노트 한 권에 많은 내용이 들어가 있네요. 어떻게 이 구성을 완성했나요?
지금과 같은 구성을 완성하기까지 1년 반 정도 소요되었어요. 처음엔 구글, 핀터레스트, 유튜브 등에서 레퍼런스를 찾아 내게 필요할 것 같은 양식으로 구성했어요. 그 후 실제 사용해 보면서 잘 사용하지 않는 양식은 버리고, 필요한 건 추가하는 과정을 반복해 현재의 구성이 되었어요. 처음부터 완벽한 불렛 저널 구성으로 시작하는 건 불가능해요. 저 역시 현재도 계속 항목을 추가하거나 빼고 있고요.
처음 시작할 때 어떤 준비물이 필요한가요?
노트와 펜 그리고 앞서 말한 불렛 저널 레퍼런스가 필요해요. 노트는 도트나 모눈 내지로 된 게 사용하기 편해요. 또 오래 사용할 것이기에 종이 질이 좋은 걸 추천해요. 펜은 평소 자신이 편하다고 생각했던 걸 선택하면 되는데요. 자신이 구현하고 싶은 레퍼런스 디자인에 맞춰 펜을 추가하면 됩니다.

손으로 직접 노트에 디자인을 그려 불렛 저널을 셋업하는데요. 번거롭지 않나요?
저는 이 셋업 과정이 과거의 나를 살펴보고 새로운 날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는 시간이라 생각해요. 예를 들어 이번 주 셋업을 하기 위해선 지난주에 쓴 걸 참고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내가 어떤 일을 했는지 확인하게 되죠. 이미 디자인이 정해진 시중의 플래너를 쓸 땐 지난 내용을 일부러 펼쳐 보아야 했는데, 불렛 저널은 그 일을 자연스럽게 하게 만듭니다. 또 이전에 쓴 불렛 저널 중 항목을 빼거나 더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관심사나 생활 패턴도 알 수 있고요.
과거 기록을 통해 알게 되어 추가하거나 뺀 항목도 있나요?
작년에 쓴 불렛 저널의 데일리 로그를 보니 제가 영화 감상이나 뉴스 보기를 꾸준히 해왔더라고요. 이걸 기록으로 남기면 좋겠다 싶어 올해는 ‘무비 로그’와 ‘뉴스 수집’을 추가했어요. 이처럼 불렛 저널을 적으면서 나라는 사람을 더 이해하게 되고 활동도 확장할 수 있어요.
현재 사용 중인 불렛 저널에서 어떤 항목이 가장 유용한가요?
‘월 리뷰’와 ‘한 줄 일기’요. 월 리뷰 페이지에는 이달의 중요 사건, 좋았던 영화나 책 등을 기록하고, 한 줄 일기에는 하루하루를 한 줄로 요약해 남겨요. 둘 다 지난 일을 회고하는 역할을 해요. 오늘의 일과 미래의 일을 기록하는 플래너에는 없는 기능이죠.
불렛 저널을 기록한 지 3년 차입니다. 무엇이 달라졌나요?
여러 가지 일을 놓치지 않고 동시에 수행하게 되었어요. 매년 하고픈 일 100가지를 작성해 위시리스트를 만드는데요. 이 중 몇 가지 목표를 월간 계획표에 옮겨요.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을 세분화해 주간 계획표에 적은 뒤 다시 일을 잘게 쪼개 일간 계획표에 쓰고요. 이렇게 일을 세분화함으로써 하나라도 더 이룰 수 있게 되었죠. 이런 작은 성취 덕분에 자신감도 올라가고 긍정적인 자세를 갖게 되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