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각 20대 후반, 30대 초반에 부부가 함께 한옥에 살기로 결심했어요. 어떻게 한옥살이를 선택하게 되었나요?
김진호 이 집에 살기 전에는 원룸에서 혼자 자취를 했어요. 이사 가고 싶다고 생각만 하던 중 당시 함께 일을 하던 분의 집에 가게 되었죠. 마당을 포함해 56제곱미터(17평)쯤 되는 아주 작은 한옥이었는데, 이 정도 크기의 한옥이 있다면 나도 한번 살아볼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어요. 유년 시절을 시골의 한옥에서 보내 그에 대한 그리움도 있었고요.
굉장히 좁은 골목길 안에 자리하고 있는데, 이 집을 어떻게 찾았나요?
장보현 경복궁역 주변 부동산은 한옥 매물을 한두 채씩은 다 가지고 있어요. 저희는 운 좋게 처음 방문한 부동산에서 첫 집으로 이곳을 보여줬어요.
김진호 처음 이 집에 왔을 때는 내부가 지금과 달랐어요. 서까래와 기둥을 합판을 덧대 가려서 겉모습과 달리 집 안은 일반적인 주택 같았죠. 망설이니 부동산 주인이 이 정도 한옥은 매물이 잘 안 나온다며 적극 추천하셨어요. 이 동네에서 오래 부동산을 운영한 어르신이라 집의 원형을 다 알고 계셨던 거죠. 그 말을 믿고 이 집으로 결정했어요.
지금의 모습은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장보현 반전세로 들어온 집이기 때문에 첫 2년은 그대로 살았어요. 그러다 문득 낮은 천장에 상부장까지 설치된 주방이 답답하게 느껴진 날이 있었어요. 무작정 주방 가구를 분리했죠. 당시 이케아가 국내에 막 들어온 때라 주방 가구를 우리 손으로 설치할 수 있을 것 같았어요. 그렇게 오래된 벽에 붙어 있는 벽지부터 타일까지, 15겹 이상을 걷어낸 후에야 우리가 아는 한옥 기둥이 등장했어요.
김진호 주방을 고친 자신감으로 다음 해에는 천장을 가리고 있던 합판을 제거했어요. 그 전부터 천장에서 흙 떨어지는 소리가 들리고 조금씩 벽지가 부풀었거든요. ‘한옥 벌레’라고 불리는 흰개미가 나무를 갉아먹은 거예요. 거실 천장을 보면 서까래 2개가 사라지고 없어요.
위험했을 수도 있겠어요. 천장 수리는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할 것 같은데 어떻게 하셨나요?
장보현 서까래 사이에 회칠(석회를 바르는 일)을 다시 해야 했는데, 둘이 직접 했어요. 시공 전문가라면 백색 시멘트로 회칠을 했을 텐데, 비전문가는 다루기 어려운 소재여서 저희는 핸디코트를 사용했어요. 어차피 계절에 따라 나무가 수축하고 팽창하며 균열이 생기기 때문에 살면서 계속 손봐야 하니 직접 하는 방법을 익혀두는 게 편리하거든요. 한옥에 살면 핸디코트는 필수품이에요.
수리할 때 정보는 주로 어디에서 찾아요?
장보현 직접 발품을 팔아야 해요. 집을 수리할 때는 을지로에 자리한 ‘영풍종합상사’를 자주 갔는데, 필요한 재료를 구입하면 사용 방법부터 추가로 필요한 도구까지 자세히 알려주세요. 을지로에는 없는 게 없고, 그곳의 직원들은 집 수리에 관해 모르는 게 없어요.

집을 고치면서 기억에 남는 일이 있나요?
장보현 15겹이 넘는 벽지와 타일을 제거하면서 이 집에 머물렀던 사람들의 생활을 상상하게 됐어요. 누군가는 이런 취향을 가졌고, 누군가는 요리를 참 자주 했구나, 누군가는 아이와 함께 살았구나 등등 90년이 넘는 시간이 벽에 켜켜이 쌓여 있던 거죠. 우리도 그중 일부가 되었다는 사실이 즐거웠어요.
요즘은 한옥 내부를 현대식으로 바꾸는 경우도 많잖아요. 근데 이 집은 오히려 옛 모습에 집중했어요.
장보현 처음 이 집이 지어졌을 때의 생활 방식이 있잖아요. 그걸 억지로 고치면 오히려 부자연스럽다고 생각했어요. 현대 생활에 맞게 한다면 차라리 부수고 새로 짓는 게 낫지 않을까요? 형식을 파괴하기보다 그 안에 내가 들어가 살아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인테리어를 할 때도 이 공간의 생활에 잘 어우러지도록 좌식 위주로 꾸몄어요.
한옥에 어울리는 인테리어가 따로 있을까요?
김진호 저희도 처음에는 2m 정도 되는 테이블을 거실에 두고 입식 생활을 했어요. 그런데 한옥의 천장이 낮은 편이어서 다니기가 불편하게 느껴졌죠. 또 커다란 테이블 아래에 그림자가 깊고 넓게 생겨서 공간이 더 좁아 보였어요. 과감하게 좌식 테이블로 바꾸고 나니 공간에 여유가 생기며 서까래, 기둥 등을 더 자연스럽게 즐기게 되었어요.
관리는 어떻게 해주고 있나요?
장보현 가장 주기적으로 해야 할 일은 빗물받이 청소예요. 처마 아래에 달려 있는 빗물받이에 낙엽 같은 이물질이 쌓이면 빗물이 빠져나가지 못해 비가 샐 수도 있거든요. 한옥은 특히 습기에 약하기 때문에 방수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해요. 또 봄마다 목재의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해 오일 먹이는 일도 해야 하고요. 벽과 천장에 핸디코트를 수시로 발라 수리하는 일도 꾸준히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