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명상 안내자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많이 떠올린 질문
Q. 나를 돌보기 위해 익힌 수련을 거짓 없이 나눌 수 있는가?
요가와 명상을 직업으로 삼겠다는 결심을 해본 적은 없다. 다만 나를 위해서 열심히 수련했고, 그러한 여정은 자연스럽게 요가와 명상을 나눌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줬다. 명상의 목표는 각자 삶의 주인이 되는 것이기에 명상 안내자라는 직업을 선택할 때 명상이 ‘나’로부터 비롯됐는지, 그것이 진심으로 나누고 싶은지를 자신에게 자주 물었던 것 같다.

일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지금 내 상태가 편안한가? 자아와 욕망으로 점철된 ‘원하는 것’보다 지금의 나를 평화롭게 하는 ‘필요한 것’을 잘 알아차릴 수 있도록 삶의 여백과 일을 조화롭게 배치한다.

명상 안내자로서 주로 어떤 일을 하시나요?
맺다 명상 연구소에서 웰니스 콘텐츠를 기획하고 나누고 있습니다. 때로는 외부 기업 강의를 통해서 직장인들의 마음 챙김과 자기 돌봄에 대한 이야기를 여러 사람에게 알려드리기도 해요. 그 일환으로 최근에는 삼성인력개발원의 명상센터에서 강사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패션 바이어로 일하다 맺다 명상 연구소를 열게 된 계기에 대해 들려주세요.
한창 바쁘게 직장 생활을 하던 30대 중반에 몸 상태가 급격히 안 좋아졌어요. 암 진단을 받고 항암 6차까지 치료를 받았죠. 회복하는 과정에서 친한 언니로부터 요가와 명상을 추천받았어요. 그때 요가의 마지막 자세인 땅에 눕는 사바아사나를 하다가 혼자 눈물을 펑펑 흘린 기억이 있어요. 선생님께서는 아무 말 없이 제 옆을 지나가다가 휴지를 살포시 건네셨어요. 무언가 제게 손을 내밀어주는 느낌이었어요. 그 당시 저는 오랜 시간 동안 의료적인 행위로서 몸 상태를 체크했을 뿐 내 몸과 내면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보듬어준 적은 없었어요. 그동안 아팠던 나를 진정으로 회복시킬 수 있겠다는 확신이 섰고, 나의 경험을 다른 환자들에게도 나누고 싶단 생각이 들더라고요. 이후 도반들과 함께 요가와 명상을 꾸준히 공부하고 수련하며 여러 프로그램을 기획하게 됐어요. 요즘은 더욱 전문적이고 정확한 지식을 나누고 싶은 마음에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명상심리상담학 석사 과정을 밟기 시작했어요.

맺다 명상 연구소의 이름을 정하기까지 어떤 고민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원래 이름은 명상 라운지였어요. 사람들이 라운지에 드나들듯 자유롭게 명상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은 이름이었죠. 하지만 제가 하고 있는 일에 전문성을 더 높이고 싶어서 연구소라는 명칭을 넣게 됐어요. 산스크리트어로 ‘Metta’는 ‘자비’, ‘자애로움’, ‘loving kindness’라는 뜻이에요. 제가 지인들과 대화하며 이 단어를 썼는데 한글 ‘맺다’냐며 묻더라고요. 그런 에피소드에서 착안해서 나와 타인, 나와 세상을 연결하고, 몸과 마음을 이어주는 공간이라는 의미로 맺다 명상 연구소로 이름 짓게 됐어요.

아무래도 마음이 힘든 분들을 대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맺다 명상 연구소만의 기준, 철학이 분명할 것 같습니다.
이곳을 찾은 분들께 항상 말씀드리는 것은 주도성이에요. 세션에 여러 번 참여할수록 많은 분이 제게 의존하려는 경향이 생겨요. 무슨 문제를 맞닥뜨렸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많이 물어보시죠. 명상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신이 삶의 주체가 되고 주도적으로 사는 거예요. 그렇기에 저는 명상을 안내할 뿐이지 주도성을 찾는 것은 참여자의 온전한 몫이에요. 저는 사람들이 명상이라는 길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안내하고 잠깐 같이 길을 걷는 사람이에요. 자신을 알아차리고 치유하며 삶의 방향을 바꾸는 등 변화를 꾀하는 건 명상을 하는 각자의 몫인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