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정치 솔루션 디벨로퍼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많이 떠올린 질문
Q. 다양한 사람들의 영향력을 모아 새로운 사회 시스템을 만들 방법은 무엇일까?
사회의 시스템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러니 개개인이 더 잘 지내기 위해선 사회 시스템이 바뀌어야 한다. 모든 유권자가 공평하게 한 표를 행사할 수 있기에, 더 다양한 목소리가 모이면 변화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일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팀의 정체성을 고려한 우선순위. 일관성 있게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해선 뉴웨이즈가 지향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야 한다.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결정한 뒤에는 뒤돌아보지 않고 끝까지 해보는 편이다.

처음부터 정치에 관심이 있었던 건 아니라고요.
함께 더 잘 살 수 있는 사회 시스템을 만들고 싶었어요. 개인은 속한 환경이나 조직에 영향을 받으니까, 궁극적으로는 사회 시스템을 바꿔야 하는 거죠. 그러려면 조직화된 힘이 필요하고요. 2020년에 일어난 여러 정치적 사건을 보면서 의사 결정권자들이 어떤 관점과 우선순위로 의사 결정을 하는 건지 의문이 들었어요. 그러다 정치 산업 안에서 의사 결정권자가 성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유권자들의 영향력과 연결해서 만들면 되겠다는 결론에 이르렀죠. 누구나 한 표씩 행사할 수 있으니까요.
낯선 분야에서 뛰어드는 게 쉬운 결정은 아니었을 것 같은데요.
소셜 벤처, 임팩트 투자를 하는 벤처 캐피털, 신규 항공사를 거치면서 다양한 일을 했어요. 일을 잘하고 싶은 욕심이 컸어요. 유능한 리더이자 여성으로서 좋은 영향력을 미치는 레퍼런스가 되고 싶었죠. 그런데 일을 하면 할수록 결핍이 생기더라고요. 스스로 탁월해지려고 하는 것만으로는 업무적으로 완전히 충족되지 않는다는 걸 깨닫고 기준을 바꿔보기로 했죠. 모든 일의 본질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디서 누구와 어떤 문제를 해결할지 고민 끝에 창업을 결심했어요.
뉴웨이즈는 ‘만 39세 이하 젊치인의 도전과 성정을 돕는다’는 미션을 가지고 있죠. 왜 젊치인에 주목했나요?
일상의 많은 문제는 정치로 해소될 수 있어요. 정치에 변화를 만들기 위해선 의사 결정권자가 더 다양해져야 하는데 데이터를 보면 그렇지 않거든요. 2018년 지방선거에서 젊치인 당선자는 전체의 6%에 불과했죠. 기초의회 절반에 만 39세 이하 정치인이 한 명도 없는 거예요. 세대마다 중요시하는 관점과 기준이 다를 수밖에 없기에 현재 정치계는 직관적으로 청년 문제를 이해하기 힘들단 생각이 들었어요. 젊치인의 비율을 10명 중 3명으로만 늘려도 나를 닮은 의사 결정이 훨씬 많아질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