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LINE]

[00:00-00:54] 성장을 위한 휴식? 절대 안 돼!
[00:55-01:28] 혹시 내 휴식법도 엉뚱한 휴식?
[01:29-01:52] 휴식의 밀도를 높이기 위한 노하우 1 일상을 한눈에 보는 차트
[01:53-02:03] 휴식의 밀도를 높이기 위한 노하우 2 나만의 휴식 목록 만들기
[02:04-02:50] 휴식의 밀도를 높이기 위한 노하우 3 다양한 휴식 레퍼런스 찾기

“무기력에 빠져 사는 게 재미없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았어요. 그땐 좋은 휴식이 무엇인지 구분할 힘도 없이, 그저 게으른 시간을 보냈다는 죄책감만 들었어요. 그러다 우연히 예술가들의 하루 루틴을 컬러 블록으로 표현한 차트를 보았어요. 무라카미 하루키, 버지니아 울프 등 위대한 작가들도 일만 하는 게 아니라, 저보다 더 많은 휴식 시간을 보냈더군요.”

휴식을 탐구하는 브랜드 라이프컬러링의 유보라 대표는 한때 게으른 시간을 보내며 죄책감과 무기력에 빠져 있었다. 우연히 보게 된 예술가들의 하루 일과는 그에게 충분한 휴식 시간을 가져도 괜찮다는 것을 깨닫게 했고, 위안을 주었다.

“피로의 악순환이라는 말이 있어요. 충분한 잠을 자지 못한 상태에서 업무를 하면 실수가 많아지게 되고, 그 실수를 만회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해지죠. 그러면 또 휴식 시간도 줄어드는 악순환의 사이클에 들어가게 되어요.”

악순환의 사이클에서 빠져나오기 위해서 질 좋은 휴식을 취하는 게 중요하다. 하지만 어떻게 좋은 휴식과 나쁜 휴식을 구분할 수 있을까?

유보라는 좋은 휴식을 찾기 위해선 우선 자기 자신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그 방법 중 하나가 일주일을 회고해 보는 ‘컬러루틴키트’다. 일주일 동안 자신이 한 일을 컬러 그래프로 기록해, 한 주에 있었던 일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돕는 도구다.

“일주일을 돌아보면 우리가 게으른 시간만 가진 게 아니라 좋은 휴식을 취했다는 걸 알 수 있어요. 좋은 시간과 나쁜 시간이 공존해요. 나쁜 시간을 가졌다는 죄책감을 떨쳐버릴 수 있죠.”

자신의 일주일을 기록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에게 필요한 휴식을 알게 되면 그다음 주를 계획할 때 도움이 된다. 내 욕구와 정서를 채울 수 있는 방향으로 시간을 사용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시간을 주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