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LINE]
[00:00~00:38] 진짜 휴식이란?
[00:38~01:15] 번아웃의 늪
[01:15~01:56] 서서히 회복하다
[01:56~03:00] 회복탄력성의 의미

누구나 한 번쯤 퇴사를 생각한다. 누구나 한 번쯤 세계 일주를 꿈꾼다. 김멋지와 위선임은 그 둘을 모두 이룬 사람이다. 718일 동안 24개국을 방문했다. “각 나라에 살고 있는 다양한 삶의 모습을 봤던 게 저에게 큰 귀감이 됐어요.” 김멋지와 위선임에게 여행은 풍부한 영감이 되었다. 경험을 바탕으로 솔직 담백한 여행 에세이를 블로그에 기록했고, 많은 독자들의 공감을 얻었다. 두 사람은 여행 작가가 되었고, 방송 작가가 되었다. 블로그 기록을 바탕으로 책 <서른, 결혼 대신 야반도주>를 냈고, JTBC 여행 리얼리티 프로그램 <트래블러>의 작가로 활동했다. 여러 강연에 참여했다. 문제는 거기서 시작됐다. 위선임은 지쳤다. “휴식이 부족했어요. 에너지 레벨이 많이 떨어진 것을 모르고 있다가 한계점에 다다른 것 같았죠. 번아웃과 함께 깊은 우울증을 겪었습니다. 늪에 빠진 것 같은, 혹은 긴 터널로 들어간 것 같은 느낌을 받았어요.” 일은 계속되었고, 김멋지마저 우울증과 심한 무기력을 겪었다. 두 사람은 모든 일을 멈추었다.

한 번 퇴사를 결심한 이들에게 일을 그만둔다는 것은 또 다른 큰 결심이었다. “노력에 강박이 있는 현대인들은 지칠 때 무언가를 더 해보려고 아등바등하거든요. 하지만 너무 힘들다면 일단 그만두는 게 가장 좋은 것 같아요. 힘든 일을 그만두는 것, 그게 큰 용기라고 생각합니다.” 위선임은 처음에는 무작정 쉬었다. 그러나 방광이 터질 것 같은 상태가 될 때까지 화장실을 가지 못할 정도로 무기력했다. 무언가 잘못됐다고 느끼기 시작했다. 그때 옆에서 하루 종일 널브러져 있던 김멋지가 달리기를 시작했다. 

“체력이 많이 무너져 있던 상태라 처음에는 2분 달리면 너무 숨이 차서 더 이상 못 달릴 것 같았어요. 2분 달리고 5분 쉬기를 반복했죠. 그러면서 옆에 달리는 러너들을 보니 ‘아, 나도 저렇게 쭉쭉 달려나가고 싶다. 바람을 맞으며 내 몸의 근육의 움직임을 오롯이 느끼면서 달리고 싶다’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런 청사진이 머릿속에 들어오니 꾸준히 달리게 되더라고요.” 위선임은 움직임이 곧 휴식이라고 생각한다. “예전에는 그저 가만히 누워 있거나 잠을 자는 등 정적인 행위가 휴식이라고 생각했는데 겪어보니 그렇지 않더라고요.” 김멋지를 따라 위선임도 몸을 움직이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