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상했던 이미지가 아니네요.”
첫 만남 때 이런 말을 건네는 사람은 십중팔구 내 책 <난생처음 킥복싱>을 읽은 사람이다. 2년 전 이맘때 출간한 이 책은 아무래도 나에게 ‘근육질의 체격 좋은 여성’이란 이미지를 선사한 것 같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내 몸에 근육이 양껏 자리한 적은 지금껏 단 한 번도 없었으며, 운동 에세이를
막 출간한 2년 전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니 역병이 세상을 강타한 후 근육 운동과 한참 거리 두기를 했던 지금의 내 몸은 말해 무엇할까.
“겨우 1년 운동한다고 근육질 몸이 되는 건 아니에요.”
운동 에세이까지 쓴 사람이 이런 몸으로 살아가고 있다는 게 어쩐지 독자를 속이고 있는 것만 같아 매번 조금 민망한 듯 대꾸를 하면, 상대방은 아무렇지 않다는 듯 다음 말을 이어간다.
“그런데 어떻게 킥복싱을 할 생각을 하셨어요?
이런 반응을 접할 때마다 나는 뭐라고 대답해야 할지 모르겠다. 운동을 해야겠다는 마음을 먹은 어느 날 킥복싱이 머리에 떠올랐고, 떠오른 김에 포털 사이트를 검색해 봤으며, 마침 집 근처에 킥복싱을 가르치는 체육관이 있어서 신용 카드를 들고 찾아간 것뿐이니. 그렇다고 이런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을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건 아니다. 남들이 흔하게 하지 않는 일을 하는 것, 생경한 일에 관심을 갖고 직접 해보는 것, 익숙한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환경 속으로 나아가는 것은 누구에게나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니까. 그러니까 궁금한 거겠지. 어떻게 그 일을 시작하게 되었는지. 하지만 생각해 보면 그리 어려운 일만도 아니다. 내가 3년 전 킥복싱 체육관을 찾아갔듯, 그냥 편한 옷을 위아래로 입고 터벅터벅 길을 걸어가 한 번도 열지 않았던 문을 열고 들어가면 그뿐. 처음 들어가기가 힘들지 한번 들어가면 그곳도 곧 익숙한 장소가 된다. 그리고 어쩌면, 그곳이 한동안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장소, 가장 가고 싶어 하는 장소가 될지도 모른다. 시종일관 유쾌하게 진행되는 영화 <위핏>의 주인공 블리스가 그랬다. 열고 싶은 문을 발견한 그녀는 주저할 시간도 아깝다는 듯 당장 찾아가 그 문을 연다.
그리고 그녀에게 새로운 세계가 열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