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배, 발표하는 사람들이 미처 몰라서 자주 하는 실수가 있나요?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침묵해야 할 순간에 침묵하지 않는 거야. 사람들은 단순히 입에서 음성이 나가는 순간만 말이라고 생각하거든. 하지만 침묵도 무언의 언어야. 전체적인 맥락 안에서 어떤 순간에 말을 하고, 하지 않는지가 모두 말에 해당하거든. 전문 프레젠터들은 10분짜리 짧은 프레젠테이션을 할 때에도 제일 중요한 말을 하기 전에 잠깐 쉬면서 사람들이 자신에게 집중할 타이밍을 주지.

발표가 길어지면 목소리가 갈라지고 호흡이 거칠어져요.
말을 예쁘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려고 노력해야 해. 목소리는 오래 말해도 목에 무리 가지 않는 편안한 발성법이 좋고, 목을 쥐어짜지 말고 배 속에서 묵직하게 나오는 소리를 내기 위해 노력해 봐. 그리고 호흡은 마음이 조급할수록 흔들리기 마련이지만 프레젠테이션 경험을 쌓다 보면 점점 좋아질 거야.

집에서 연습할 때와는 달리 왜 프레젠테이션 현장만 가면 호흡이 흔들릴까요?
실전 경험이 적기 때문이겠지. 경험치가 쌓일수록 적대적인 시선이나 제스처에 당황하지 않고 이야기를 계속해서 끌고 가는 힘이 길러질 거야. 특히 ‘청중을 오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해. 청중이 내 발표를 듣지 않고 갑자기 딴짓을 하거나 밖으로 나가거나 뚱한 표정으로 나를 쳐다볼 수도 있거든. 그럴 때 순간적으로 당황하게 되는데, 사실 별 의미가 없는 행동일 수 있다는 걸 잊지 마. 청중의 반응 하나하나에 위축되지 말라는 말이야.

선배처럼 자신감 있게 발표하려면 얼마나 연습해야 하나요?
자신만의 리듬감이 생길 때까지 연습해야 해. 연습을 하다 보면 내용을 이해하고, 어디에서 포인트를 짚어야 할지 짐작이 되거든. 그러면 불필요한 말이 자연스럽게 걸러지면서 자신만의 언어로 순화돼. 그런데 연습의 총량이 그다지 중요하진 않아. 단순히 많이 외운다고 발표를 잘할 수 있는 건 아니거든. 내가 알려주는 순서에 따라서 연습해 봐. 빠른 시간 안에 프레젠테이션을 잘할 수 있는 방법이야. 특히 제안서 장표를 1장씩 연습하는 것보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며 효율적으로 외우는 게 중요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