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LINE]
[00:00-00:27] 자존감을 만드는 노와이파이
[00:28-01:19] 노와이파이로 이룬 것들
[01:20-02:36] 나만의 노와이파이 규칙
[02:37-03:23] 노와이파이를 해야 하는 이유
오늘도 도둑 맞았다, 내 집중력. 알고리즘의 파도에 몸을 맡긴 채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을 오가기를 반복하다 하루가 저물었다. 수십 개의 콘텐츠를 보았지만 기억에 남는 것은 별로 없다. 이런 생활이 나만의 일은 아닐 것이다. 한 몸처럼 붙어 있는 스마트폰에는 온종일 유혹이 넘쳐나니까. 이런 자극적인 콘텐츠들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문구를 좋아해 스스로를 ‘문구인’이라 부르는 김규림은 그 방법으로 ‘노와이파이’를 실천한다.
“10년 정도 되었어요. 제 삶의 화두 중 하나가 ‘비접속’이에요. 몰입, 집중력, 오리지널리티 같은 단어와 함께 살면서 항상 추구하고 생각하고 있죠. 스스로의 생각에 깊게 침잠해, 그걸 길어 올리는 시간들은 외부의 정보와 차단되었을 때 가능하더라고요.” 처음에는 방 하나를 ‘생각의 방’이라 이름 붙여 그곳에서 인터넷 접속을 끊고 시간을 보냈다면, 지금은 자신에게 집중하는 활동들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노와이파이를 실천 중이다. 그렇게 보낸 시간을 통해 책 <로그아웃 좀 하겠습니다>, <아무튼, 문구>, <뉴욕규림일기>, <일놀놀일> 등을 썼고, 자신에게 필요한 도구를 만들어 세상에 내놓았다.
“계속 최적화를 하고 있어서 방법은 꾸준히 달라지고 있어요. 처음에는 인터넷 서핑에 빠져 있어서 컴퓨터를 아예 끄고 노트에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렸다면, 요즘에는 릴스나 숏츠 같은 빠른 호흡의 영상을 보지 않기 위해 스마트폰을 비행 모드로 돌려 놓고 있어요.” 그는 노와이파이 실천을 돕는 도구들도 적극 활용한다. 그중 하나가 스톨프Stolp라는 박스다. 스마트폰을 넣으면 자동으로 비행 모드가 작동해, 모든 알림이 오지 않는다. 그 외에도 외부의 소리를 차단해 줄 이어플러그, 이동 중에도 자유롭게 책을 볼 수 있는 이북 리더기 등을 활용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