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자동차 커스터마이저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많이 떠올린 질문
Q. 재미있을까?
설치미술 작가, JYP엔터테인먼트 비주얼 디렉터, 편집 숍 바이어 등 다양한 직업을 거쳤다. 그때마다 거창한 생각은 하지 않았다. 그저 내가 즐기며 몰두할 수 있는 일이겠다 싶으면 뛰어들었다. 흥미로운 일을 업으로 삼았으니 대부분의 시간이 즐거웠고, 힘든 일이 닥쳐도 그런대로 이겨낼 만했다. 노는 듯 일하다 도저히 재미가 없어지면 또 다른 재미를 일로 연결할 궁리를 했다. 다른 건 몰라도 좋아하는 일로 꾸준히 돈을 벌었으니 운 좋은 사람인 건 확실하다.

일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자존심을 잃지 않는 것.

자동차 커스터마이저란 직업이 다소 생소한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지 소개해 주세요.
차주의 의뢰를 받아 세상에 단 한 대뿐인 자동차를 만드는 일이에요. 여러 페인트를 조합해 차량에 칠하기도 하고 그 위에 화려한 무늬를 그려 넣거나 메탈 장식을 더해 전반적으로 차량의 외관을 멋지게 꾸미는 일을 하죠. 자동차를 주로 작업하지만 바이크 의뢰도 꽤 들어오고요. 그런가 하면 단순한 외관 꾸미기를 넘어 수명이 다한 차량에 숨을 불어넣는 일도 하고 있어요. 저기 주차장에 세워진 차들 중에는 1940~50년대에 출시된 올드 카가 많은데 오랜 세월을 견딘 만큼 여기저기 낡고 부식되게 마련이죠. 이런 차들의 속부터 겉까지 손을 봐 실제 주행이 가능할 정도로 복원하는 일 역시 맡고 있습니다.

어떻게 이 일을 하게 됐나요?
취미로 ‘록크롤링 rockcrawling’을 즐겼어요. 자동차를 타고 큰 바위나 언덕을 넘나드는 스포츠인데 대회에 출전할 정도로 꽤 진지해졌죠. 그런데 바위, 모래, 물처럼 험난한 곳을 달리다 보니 그에 맞게 차량 성능을 개조할 일이 많았어요. 한번 달렸다 들어오면 차량 이곳저곳이 망가져 수리비가 몇 천만 원씩 들어가기도 했죠. 매번 개조·수리 과정을 지켜보는데 어느 순간 ‘어? 이거 나도 한번 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더라고요. 그간 제가 배워온 회화, 조소, 무대 디자인 등이 차량을 개조하고 손보는 일과 일정 부분 맞닿아 있다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예컨대 무대 디자인을 할 땐 목수처럼 나무를 이리저리 잘라가며 상상하던 디자인을 구현해야 했고, 개인 작업을 하면서도 페인트를 섞어 다양한 컬러와 텍스처를 만들어냈죠. 어쩌면 적성에 잘 맞는 일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록크롤링 대회를 함께했던 팀원들에게 돈 안 줘도 좋으니까 일 좀 배우게 해달라고 졸랐어요. 그래서 JYP를 그만두고 다시 ‘초년생’으로 돌아갔죠. 그때부터는 거의 차 개조에 올인하며 살았던 것 같아요. 가지고 있던 비싼 차를 풀었다 조였다 하며 구조나 원리도 익히고 온갖 색을 다 섞어 칠해 보면서 어떤 상태에서 최상의 결과물이 나오는지를 차근차근 배웠어요.

단순히 배우는 데서 그친 게 아니라 아예 정비소를 차렸잖아요. 이유는 뭐예요?
자존심 상하는 일을 겪었어요. 사실 팀에 들어가 기본기를 익혔지만, 그와 동시에 제가 좋아하는 올드 카 복원도 조금씩 시도해 보고 있었거든요. 일 끝나고 정비소에 남아 이것저것 만져보고 있는데 어쩌다 사장님이 그걸 보고는 욕까지 섞어가며 나중에 네 정비소가 생기거든 그때나 이렇게 하라고 소리를 지르더라고요. 그 말에 오기가 발동해 5년 전 집까지 팔아 경기 의왕에 있던 1급 정비소를 인수했어요. 정비소는 면적이나 인적 구성에 따라 등급이 나뉘는데 과거엔 1, 2, 3급으로 구분해 차량 수리 범위를 정했죠. 3급에 비해 1급이 더 규모도 크고 복잡한 정비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의미고요. 지금은 개정이 돼서 등급 대신 자동차종합정비업, 소형자동차종합정비업, 자동차전문정비업으로 명칭을 정리했어요. 자동차전문정비업이 과거의 1급 정비소나 마찬가지죠. 어찌 됐든 그렇게 1급 정비소까지 인수했으니 이제 본격적인 판이 열린 셈이잖아요. 내가 하고 싶은 건 다 해보자 싶어서 로라이더나 핫로드 스타일의 차들을 다뤄보기로 했죠. 어릴 적부터 힙합이나 로큰롤을 정말 좋아했는데 뮤직비디오를 보면 늘 이런 화려한 차들이 등장하더라고요. 그래서 기존 정비소에서 하던 사고 차량 수리 같은 건 다 접고 철저히 주문제 작업 방식으로 시스템을 바꿨어요. 공업사 인수 때 만난 공장장님을 비롯해 커스텀 페인팅이나 메카닉(기계공) 파트의 직원도 충원했고 좀 더 넓고 쾌적한 여건을 찾아 2년 전 이곳 일산으로 장소도 옮겼죠.

로라이더나 핫로드의 개념이 생소한데요. 어떤 차들을 뜻하나요? 저기에 있는, 힙합 뮤직비디오에서 자주 봤던 화려한 차들을 말하는 건가요?
맞아요. 과거 미국에 거주하던 멕시코 사람들이 주로 탔던 차가 로라이더예요. 자동차를 타고 싶은데 불법 취업을 했으니 새 차는 못 사고 연식이 오래된 중고차를 구입해 여기저기 꾸며 탔다고 해요. 그 차의 특징이 화려하고 차체가 낮아 ‘로라이더 lowrider’ 스타일이라고 하죠. 그에 반해 핫로드 hot-rod는 백인 중심이에요. 1960년대 이전에 만들어진 올드 카를 뜻하기도 하고 이런 차들에 튜닝을 더하는 문화를 통칭하기도 해요. 저는 이런 로라이더나 핫로드 스타일의 차량이 정말 아름답고 특별하다고 생각했어요. 저기 보이는 저 빨간 차량은 1954년도에 생산됐는데 그때가 미국 최고의 경제 성장기였어요. 아폴로 우주선이 달나라에 착륙하던 시절이죠. 재미있는 게 그런 시대상이 차에 투영된다는 점이에요. 차의 형태가 우주선 같다거나 경제 부흥과 맞물려 극단적인 화려함을 추구하는 식으로. 이런 매력을 가진 올드 카가 사라지지 않도록 일조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