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명
심두

의미
‘심드렁’이라는 단어와 비슷한 발음의 한자를 찾다가 지금의 이름이 나왔다. 스며들 심에 머무를 두. 스며들어 머문다는 뜻이다.

탄생 시기
2020년 10월

핵심 가치
각박한 세상에서 피식 웃을 수 있는 잠깐의 틈이 되어주는 것

브랜드 준비 초기 가장 많이 했던 질문
Q. 과연 손님이 올까?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한창일 때 가게를 오픈했다. 2.5단계가 시행되면서 음료만 판매하는 공간에서는 착석이 금지됐다. 어쩔 수 없이 식사 메뉴로 심드렁한 얼굴의 주먹밥이 들어가는 커리를 추가했는데, 바로 이 커리가 전환점이 되어줬다. 지금은 주기적으로 새로운 커리와 메뉴를 선보이고 있다. 공간을 살리고 손님을 모으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Q. 혼자서도 잘할 수 있을까?
모든 걸 혼자 꾸려가다 보니 아프지 않도록 항상 긴장된 상태로 살고 있다. 오래가는 브랜드가 되려면 시스템에 변화를 줘야 할 것 같아 현재도 고민 중인 부분이다.

성장 포인트
심드렁하고 하찮아 보이지만 어딘가 정이 가는 쿠키와 메뉴들. 그리고 그것들이 와글와글 모여 있는 좁지만 알록달록한 가게의 조화.

심두라고도, 심드렁 쿠키 바라고도 부르는데요. 두 이름은 어떻게 탄생했나요?
심두는 심드렁이라는 브랜드를 사람들에게 더 널리 알리기 위해 시작한 프로젝트성 콘셉트 스토어라고 할 수 있어요. 그 중심에는 ‘심드렁 쿠키’라는 심드렁한 얼굴의 쿠키가 있는데, 쿠키도 판매하고 여러 작업도 할 수 있는 공간을 찾다가 지금 이곳을 발견하게 됐습니다. 공간이 좁고 기다랗다 보니 자연스럽게 바 형태로 만들게 됐고, 그래서 심드렁 쿠키 바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정식 명칭은 심두예요. 심드렁이라는 단어가 들어가지 않으면서 심드렁과 비슷한 발음이었으면 좋겠다 싶었어요. 그래서 스며들 심, 머무를 두 라는 한자를 찾았고, 그 뜻에 따라 ‘스며들어 머문다’는 의미도 더했어요.

심드렁 쿠키의 탄생 비화가 궁금해요. 미술 작가로도 활동하고 있는데, 작업의 일환이었던 건가요?
본래 해오던 작업들은 어둡고 진지한 게 많았어요. 드로잉을 기반으로 영상과 만화, 회화 등 다양한 작업을 해왔는데, 그게 지겨워지거나 떨쳐버리고 싶은 기분이 들 때 조금씩 소소한 일들을 벌였죠. 그러던 와중에 친구들과 단체 전시회를 열었고 오프닝 때 같이 먹을 수 있는 쿠키가 있으면 좋겠다 싶어서 ‘그럼 여기 오는 사람들 얼굴을 본떠서 만들어볼까?’ 이렇게 된 거죠. 어떻게 보면 장난 삼아 시작했던 건데 그게 같은 해에 <과자전>이라는 디저트 페스티벌에 참가하면서 공식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여러 얼굴 중에서도 특히 심드렁한 얼굴에 꽂힌 이유는 무엇인가요?
지하철에서 사람들 얼굴을 관찰하는데 죄다 심드렁한 표정인 거예요. 집에 가서 버터 쿠키 반죽을 만들고 심드렁한 얼굴을 그려 넣은 다음 구워 먹었는데, 쿠키가 ‘그러든가 말든가’ 하고 말하는 것처럼 느껴졌어요. 이상한 쾌감 같은 것도 들었던 것 같아요. 부정적으로 심드렁했던 기분이 쿠키가 되어 먹혀서 사라지고, 느긋한 심드렁함만이 남은 것 같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