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명
띠로리소프트

의미
당황스러운 순간에 주로 쓰이는 효과음 ‘띠로리’와 어엿한 회사라는 뜻을 담은 ‘소프트’의 합성어. 황당하고 헛웃음이 나는 인형을 만드는 어엿한 브랜드라는 뜻이다.

탄생 시기
2019년 12월

핵심 가치
어딘가 엉성하고 재미있는 물건으로 웃음과 사랑 전하기

브랜드 준비 초기에 가장 많이 했던 질문
Q. 인형을 팔 수 있을까?
성인을 대상으로 인형을 판매하기 위해선 차별점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기존에 없는 인형의 생김새를 만들어보자. 나만의 개성을 더해 아티스트의 굿즈라는 이미지를 부여한다.

Q. 가격대는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
인형은 어릴 때부터 사람들에게 노출되었던 물건인 만큼 아티스트 굿즈 수준의 가격대를 책정하면 거부감이 들 수 있다. 그렇다고 100% 수작업으로 만드는 이 제품에 저렴한 가격을 매기면 오래가지 못할 터. 그러니 우선 이 간극의 접점을 찾아 가격을 책정하고 판매한 후에, 브랜드가 좀 더 자리를 잡으면 제품군을 두 가지로 나누어 제작해 보자. 한 그룹은 공산화 제작 시스템으로 넉넉한 물량을 보다 합리적인 가격에 판매하고, 다른 한 그룹은 작품의 개념으로 오리지널리티를 강조해 소량만 제작하는 건 어떨까? 이 고민은 현재도 진행 중.

성장 포인트
세상에 아직 존재하지 않는 인형은 무엇일까? 흔하지 않은 모습의 인형을 만드는 데 주목하여, 한 번 더 눈길이 가도록 비주얼적인 키포인트를 계속 개발해 나가자.

조소학과를 졸업했다고 들었어요. 그러다 인형 캐릭터를 만들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조소학과를 간 건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을 배워보고 싶어서였어요. 움직이는 대상에 흥미가 있었거든요. 대학 생활을 하면서 만화 그리기 동아리에 들어가서 캐릭터 그리는 걸 즐기기도 했고요. 그러다 보니 정통 조각과는 다르게 사람들에게 좀 더 다가가기 쉬운 개념의 캐릭터를 만들어보고 싶었어요. 그때 구현할 소재로 선택한 것이 패브릭이었고, 그렇게 인형이라는 결과물로 탄생하게 되었죠.

띠로리소프트라는 브랜드 이름이 특이해요. 쉽게 의미가 짐작 가지 않고요. 무슨 뜻인가요?
‘띠로리’라는 단어는 당황할 때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사전에 등재되어 있어요. 제가 만들고 싶은 인형도 당황스러운 생김새를 가진 인형이었기 때문에 잘 맞겠다는 생각이 들었죠. 뒤에 ‘소프트’가 붙는 건 게임 회사나 규모가 큰 회사를 보면 뒤에 ‘~소프트’가 붙잖아요. 소프트라는 어감 자체가 되게 체계적이고 어엿한 느낌을 주더라고요. 그래서 혼자서 운영하는 브랜드가 소프트라는 단어를 사용한다면 어불성설이고 재미있을 것 같은 거예요. ‘어엿하지 않지만 나름 브랜드입니다’ 하는 인상을 주고 싶었어요.

현재 대표 제품 라인업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주먹보다 작은 크기의 쥐 모양인 ‘한입거리쥐방울’ 인형부터 서울 용산의 편집 매장 ‘리리스토어’와 함께 진행한 ‘IN MY ROOM’ 전시에서 방 안에 있는 것들을 주제로 만든 ‘눈치 보는 스탠드’, ‘생쥐를 위한 치즈대백과’, ‘강쥐 한 잔의 여유’ 등의 인형도 있고요. 인형에 램프 기능을 넣은 ‘미니 토이 램프’ 제품도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