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등 떠민 것도 아닌데, 하고 싶어서 시작한 일이 오늘만은 진짜 하기 싫다. 책상 앞에 앉아 웹 서핑만 몇십 분째 하다가 결국 침대로 딥 다이브. 그렇게 내일로, 또 내일로 미루며 꿈꿔온 일과 나 사이는 책상과의 사이만큼 멀어진다. 대체 꾸준히 하는 거, 그거 어떻게 하는 건데?
물론 꾸준히 한다고 해서 항상 좋은 결과를 얻는 건 아니다. 슬프지만 노력도 가끔은 배신을 하니까. 그렇지만 매일 해나가는 과정에서 이룬 하루의 작은 성취는 틀림없이 스스로에게 남는다. 그것이 또 다른 일을 시작할 수 있는 자신감이 된다. 문제는 의지만으로 쉽게 몸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사실뿐. 그렇다면 실제로 한 가지 일을 묵묵히 해온 사람들은 어떨까. 그들은 어떤 방식으로 각자의 꾸준함을 완성했을까.
9년 전 사이드 프로젝트로 시작한 매거진을 통해 제2의 삶을 개척한 ‘아침’의 윤진 대표, ‘솔샤르’라는 이름으로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며 자신의 가능성을 열어본 광고 기획자 정은우, 50번 넘게 공모전에서 떨어졌으나 포기하지 않고 계속 소설을 써온 작가 문지혁에게 질문을 던졌다.
“좋아하는 일, 꾸준히 하는 나만의 방법이 있나요?”
2015년, 처음 <Achim> 매거진을 세상에 내놓았을 땐 1호가 끝일 줄 알았어요. 그저 나를 표현하는 게 재밌어서 한 권, 한 권 만들다 보니 28호까지 나왔네요. 가벼운 마음으로 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에요. 사실 일 년에 네 권을 발간해야 했는데, 회사 일이 바빠 그러지 못한 해도 있거든요. 그래도 괜찮아요. 이 일이 부담으로 느껴지면 재미를 잃게 되잖아요. 내 즐거움을 침해받지 않을 정도로만 힘을 줬어요.
하나의 일을 시작했다면 그 결과물을 시각화해 보세요. 저는 아침마다 노션(notion)에 일기를 써요. 눈뜨자마자 든 생각과 묵상 등을 글로 적고 사진 한 장을 섬네일로 지정하죠. 여러 장의 사진이 쌓여가는 걸 눈으로 보니 동기 부여가 되어요. 사진뿐만 아니라 일기에 제목을 붙이는 것도 시각화하는 방법 중 하나예요.
내가 시작한 일을 주변에 알리면 의지가 더 솟아날 거예요. SNS에 매일 한 일을 업로드하면 다른 사람들에게 응원도 받을 수 있죠. 저는 아침 커뮤니티 멤버인 ‘모닝 오너’에게 일요일 오전 7시마다 뉴스레터를 보내고 있는데요. 벌써 160회가 훌쩍 넘었어요. 매주 제 편지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있다는 게 저를 멈추지 않게 해주는 힘이에요.
꾸준히 하는 일도 언젠가는 끝이 있겠죠? 옛날에는 1년, 3년 치 계획을 꼼꼼하게 세웠어요. 지금은 그러지 않아요. 취미 삼아 시작한 매거진이 커뮤니티로, 서비스로, 공간으로 확장된 것처럼, 인생은 알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가기도 하니까요. <Achim>을 100호 정도 만들면 질릴 수도 있겠죠. 앞으로 30년 뒤의 일이니 미리 떠올리진 않으려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