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를 접하게 된 계기
2019년에 일본 영화 〈일일시호일(日日是好日)〉을 보고 난 뒤 차 문화에 관심이 생겼다. 그러다 어느 날 원 데이 클래스를 통해 차를 접했는데, 말차에 이어 녹차, 백차 등의 클래스를 매주 한 번씩 듣다 보니 어느새 4년이 흘렀다. 뭔가를 이토록 지속한 적은 처음이다. 

넓고도 깊은 차의 세계
‘덕질’ 할 요소가 무궁무진하다. 우선 한평생 마셔도 시간이 모자랄 만큼 차 종류가 다양하다. 커피나 와인과 마찬가지로 찻잎의 품종, 수확 시기, 산지 등에 따라 맛과 향이 달라진다. 게다가 차를 즐기다 보면 자연스레 다구에도 빠져들게 된다. 도기 다구를 다루다 보니 옻칠 수선 기법인 ‘킨츠키’로까지 관심이 뻗어 나간다. 차 산지를 찾아 중국, 일본, 인도 등지를 여행하는 경우도 생긴다. 차의 세계는 파면 팔수록 흥미로운 일로 가득한 듯하다.     

하루를 마무리하는 차 한 잔
일과를 모두 마친 저녁에 집에서 혼자 마시곤 한다. 차에도 커피처럼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지만, 테아닌이나 GABA 같은 숙면에 도움 되는 성분도 함께 들어 있다. 여러 다구를 복잡하게 차리기보단 표일배를 사용해 마신다. 표일배는 본체와 우림통이 한 몸을 이룬 찻주전자로, 찻잎을 우린 뒤 뚜껑의 버튼을 누르면 찻물만 본체로 떨어진다. 설거지거리도 적어서 편리하다.   

차 생활의 효용
차를 우리고 내리고 마시며 생각을 덜어내게 된다. 찻물이 뜨겁기 때문에 자칫 손을 델 수도 있어 딴생각을 할 수 없고, 손을 바삐 움직여야 하니 이 순간에만 집중하기 쉽다. 마치 명상을 하는 기분이 든다. 

평소 자주 마시는 차 
그날그날 끌리는 차를 마시는데, 유독 우롱차 계열에 자주 손이 간다. 종류가 다양하고, 향이 화려해서 호불호가 갈리지 않는 편이라 초심자에게도 추천할 만하다. 햇차가 나오는 봄에는 녹차를 많이 마신다. 사실 차를 처음 접할 땐 백차나 황차와 같이 덜 익숙한 차를 고르곤 했다. 그간 맛있는 녹차를 만나보지 못한 탓이었다. 좋은 녹차를 정성 들여 우리니 감칠맛이 풍부하고 향기로웠다. 산뜻하면서도 구수해 한국 음식과도 잘 어울린다. 

알고 보면 다채로운 우리 차
한국에도 다양한 종류의 전통차가 있다. 녹차 말고 유명한 건 홍차나 잭살차라고도 부르는 발효차다. 그중 청태전은 찻잎을 쪄서 동전(엽전) 모양으로 꾹꾹 눌러 만든 것으로, 귤피를 넣고 끓여 마시면 감기에 효과가 좋다. 중국에서 배워 오거나 자체 연구를 통해 만든 우롱차도 있다. 우리나라처럼 직접 찻잎을 키우고 가공하는 나라는 많지 않다. 그런 면에서 차 애호가가 살기 좋은 곳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