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명
굼바포터리(GUUMBA POTTERY)

의미
박금주 내 이름인 ‘금주’에서 생겨난 별명이 ‘굼바’다. 가족이나 친구들이 친근하게 부르던 애칭인데, 마침 우리가 초창기에 작업했던 아프리카 감성과도 잘 맞아떨어졌다. 
박동훈 검색해 보니 아프리카 고대 철기 문명을 칭하는 이름이더라. 우리의 에스닉한 스타일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브랜드명이라 생각했다.

탄생 시기
2021년 봄

핵심 가치 
일상에서 실용성을 지닌 기물을 선보이며 자연의 감성을 전달하는 것. 

브랜드 준비 초기에 가장 많이 했던 질문
Q. 어디에서 본 적 없는 것인가?
박금주 차별성을 중요하게 여긴다. 기물을 만들거나 그림을 그릴 때, 어디서 본 듯한 느낌이 들지 않도록 항상 경계한다. 창작자로서 부끄럽지 않기 위해서다. 
Q. 직관적이고 상품성이 있는가?
박동훈 비공예인의 시각에서 중요한 점은 직관성과 상품성이다. 공예적인 요소를 살리되 일반 소비자의 눈으로도 ‘와우 포인트’를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성장 포인트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를 겪으며 급속도로 성장한 식물 시장이 굼바포터리의 도약을 이끌었다. 식물을 키우는 분들로부터 화기를 제작해 달라는 요청이 많아졌고, 특히 아프리카 식물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에스닉한 디자인 화기를 찾는 고객들이 굼바포터리를 주목하기 시작했다.

두 분이 남매라고 들었어요. 어떻게 브랜드를 함께 창업하게 되었나요?
박금주 둘 다 회사 생활을 했었는데, 우연히 서로에게 터닝 포인트가 된 시기가 겹쳤어요. 평소에도 관심사가 비슷했던 터라 “우리 새로운 걸 한번 해볼래?” 하며 물 흐르듯 시작하게 되었네요.

각자의 전공이나 이력이 브랜드 운영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박금주 저는 공예과에서 도자와 섬유를 전공했고, 이후 텍스타일 회사에서 커튼이나 이불 등 홈 패브릭의 패턴을 디자인했어요. 그 덕분에 도자 위에 그림을 그리는 일이 제게는 자연스러운 작업이었죠.
박동훈 저는 영상 기획을 전공했어요. 시장과 작품을 분석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기획하는 작업이 도자 스튜디오를 운영하는 데도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어요.

두 분의 역할이 명확하게 나뉘는 것 같네요. 
박금주 제가 감성을 맡는다면, 동생은 이성을 담당해요(웃음). 
박동훈 작업 과정도 철저히 분담되어 있어요. 누나가 물레 성형을 하면 제가 정형을 하고, 누나가 그림을 그리면 제가 굽고 유약을 바르는 식이죠. 사진 촬영은 제가, SNS 관리는 누나가 담당합니다.

굼바포터리는 고대 문명에서 영감을 받는다고 들었어요. 아이디어는 주로 어떻게 얻나요?  
박금주 여행이나 출장을 가면 첫날은 꼭 박물관에 들러요. 평소에는 국립중앙박물관도 자주 방문하고요. 도자기를 포함한 다양한 공예품을 직접 보면 정말 많은 영감을 받거든요. 도자기에는 특별한 기운이 담겨 있어서, 보고 나면 마음을 다잡고 작업에 더욱 몰두하게 돼요.

특별히 기억에 남는 기물이 있나요?
박금주 프랑스 출장에서 본 아프리칸 러그와 도자기가 문화적 충격을 줄 정도로 인상 깊었어요. 남아프리카나 우간다에서 생산된 도자기를 보면 그 지역 사람들의 형상을 닮은 경우가 많은데요. 특히 아프리카인의 긴 목과 큰 귀에서 영감을 받아, 초기에는 목이 긴 화병이나 귀가 달린 항아리 오브제를 만들었어요.
박동훈 단순히 도자기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벽화에서 나오는 패턴을 재해석해 도자기에 적용하기도 해요. 특정 지역에 국한하지 않고 여러 문명을 탐색하며 굼바포터리만의 독창적인 디자인을 만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