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사람 참 예민해’란 말이 어떻게 들리는가? 상황에 따라 긍정적으로도, 부정적으로도 받아들여질 수 있다. 예민한 감각이 내적, 외적 갈등을 유발할 때도 있지만, 그 갈등이 어떤 결말을 맞이하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결말은 전적으로 내가 예민함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피 엔딩을 맞이할 수 있을까? 요즘 시대의 구루를 통해 인사이트를 전하는 유튜브 채널 ‘최성운의 사고실험’을 운영하는 최성운 PD, 감각적인 디자인으로 최신 유행을 선도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MHTL의 맛깔손⋅박럭키 대표, 인문학을 바탕으로 브랜드 컨설팅을 설계하는 LMNT 최장순 대표 등 섬세한 감각을 발휘해 자신만의 독특한 결과물을 선보이는 사람들을 만났다.
예민함은 지나치면 일상을 피곤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적재적소에 활용하면 좋은 결과물을 빚어내는 원료가 된다. “내 인생을 망치러 온 나의 구원자”라는 영화 속 대사처럼, 양면의 얼굴을 지닌 예민함을 어떻게 다룰지 함께 살펴보자.
“예민함을 활용하는 나만의 방법이 있나요?”
인터뷰 콘텐츠에서는 출연자가 가장 중요해요. 보는 사람이 호기심을 가질 수 있는 포인트들이 필요하죠. 그래서 ‘최성운의 사고실험’은 대체로 한 인터뷰이로 영상 2편을 만들어요. 1부에서는 개인적인 이야기를, 2부에서는 특정 분야나 구체적인 노하우 등을 다룹니다. 1부와 2부 중 하나라도 흥미를 가질 수 있게 던져보는 거죠.
영상 콘텐츠는 텍스트가 아닌 만큼 비언어적 표현을 최대한 담아내려고 노력해요. 눈빛이나 표정, 태도 등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내야 하죠. 제 장점 중 하나가 ‘예의 바르게 불손한 질문하기’인데요(웃음). 질문을 준비할 때 그 사람의 기본적인 정보는 물론이고 가치관을 파악하려고 애써요. ‘이 사람은 무엇에 열렬히 반대할 것인가?’ 또는 ‘무엇을 지지할 것인가?’를 상상하며 질문을 던지는 거죠. 그럼 상대방의 진솔한 반응이 나와요. 영상을 편집할 때도 그런 부분을 특히 잘 담아내려 해요. 그때의 말투나 뉘앙스에서 그 사람의 매력이 드러나니까요. 그것이 제가 예민하게 감각하는 부분이기도 하고요.
이런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선 먼저 인터뷰이에게 신뢰를 얻어야 합니다. 내가 당신의 말을 이해할 수 있고, 왜곡하지 않겠다는 믿음을 줘야 하죠. 우리가 함께 좋은 콘텐츠를 만들어낼 것이란 확신을 주는 거예요. 인터뷰란 장르는 타인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해요. 제가 인터뷰를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한데요. 더 많은 사람들이 인터뷰 장르에 흥미를 느끼고 유입될 수 있도록 매력적인 콘텐츠를 제작하고 싶어요. 타인에 대한 관심이 생기면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새로운 부분을 발견할 수 있지 않겠어요?
올해에는 라이브 방송에도 도전할 예정이에요. 아무래도 섭외부터 진행, 편집까지 맡다 보니 물리적인 제작 시간을 줄일 필요도 있고, 무엇보다 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이에요. 원래 도전을 좋아하는 성격은 아니지만, 불편함을 감수하고 내린 결정들이 저를 더 재미있는 삶으로 이끌어왔다는 사실을 잊지 않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