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명
포스티스 (POHS TIHS)

의미
‘SHIT SHOP’의 철자를 거꾸로 뒤집은 것이다. 사업자 등록을 하기 직전에 ‘에라 모르겠다’ 하는 심정으로 떠올린 이름인데, 너무 진지한 의미를 담거나 멋있기만 한 이름은 내 취향이 아니기에 오히려 나와 더 잘 맞는 것 같다.

탄생 시기
2022년 4월

핵심 가치
어느 시대, 어떤 분야든 언더그라운드 신은 문화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좀 더 나아가서는 활력을 불어넣는 작용을 해왔다고 생각한다. 포스티스는 소규모 독립 브랜드를 지지함으로써 언더그라운드 신이 발전하는 데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고자 한다.

브랜드 준비 초기에 가장 많이 했던 질문
Q. 내가 몸담고 있는 이 신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첫 직장인 ‘휴먼트리’에서 스트리트 패션 브랜드를 시작했을 때, 나를 이끌어줄 만한 선배 디렉터나 디자이너가 주변에 없었다. 국내 서브컬처 신이 형성된 지 얼마 안 되었기 때문인데, 그때의 기억을 떠올려보면 정말 외로웠다. 그래서 늘 그런 역할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고, 내 경험이 적게나마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포스티스를 오픈하게 됐다.

성장 포인트
최근 20여 팀과 협업해 로컬 진 페어(Local Zine Fair)를 열었는데, 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찾아와 놀라면서도 기뻤다. 신생 브랜드를 소개하는 것과 동시에 여러 사람과 언더그라운드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이벤트를 꾸준히 기획하고 선보이려 한다.

이력이 꽤 독특한데요. 밴드 활동을 하다 그래픽 디자인으로 전향한 계기는 뭐였어요?
원래 만화를 그리는 게 꿈이었어요. 그런데 같이 만화를 하던 친구들끼리 홍대 ‘드럭’에 공연을 보러 갔다가 펑크 록에 빠지게 된 거예요. 그렇게 음악 활동을 하면서 아는 밴드들 앨범 재킷이나 포스터를 그려주곤 했어요. 미국이나 영국의 펑크 록에 점점 더 심취하면서 언더그라운드 아트, 그래픽 아트를 경험하게 됐고, 그때 ‘이런 걸 하고 싶다’ 느꼈던 거죠.

그래픽 아트의 어떤 점이 좋았어요? 특별히 영향을 받은 작품이 있나요?
1970년대 미국 언더그라운드 코믹스 신의 영향을 많이 받았어요. 당시에 우리나라에서 만화라고 하면 어린이들을 위한 만화만을 떠올렸는데, 미국에는 마약, 폭력 등 사회 문제를 다루는 만화들이 있었죠. 그 점이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어요. 또한 1970~80년대 펑크 록이나 스케이트보드, 서프보드 아트를 보면 만화적인 그래픽 작업이 많은데, 만화를 좋아하다 보니 그런 스타일에 끌렸던 것 같아요. 그건 지금도 마찬가지예요. 만화적인 요소가 있는 그래픽이 어떻게 보면 제 아이덴티티라고 볼 수 있죠.

포스티스 내부만 둘러봐도 그 아이덴티티가 느껴지는 듯해요. 숍을 열고자 마음먹은 건 어떤 이유에서였나요?
개인적으로 힘든 일을 겪은 적이 있어요. 그 생각을 떨쳐내려고 1년 정도는 일에만 몰두했죠. 그러다 너무 무리하게 일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함께 일하던 사람들에게 실례를 범했고, 저 자신에게도 번아웃이 찾아왔어요. 그때 정말 많은 생각을 했죠. ‘더는 치열하게 살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가장 컸어요. 그냥 좋아하는 거 하면서 밥 안 굶고 살면 그만 아닌가 싶더라고요. 그랬을 때 자연스럽게 떠올랐던 게 제 공간을 여는 거였어요. 원래부터 이런 생각을 갖고 있긴 했는데, 이제는 정말 열 때가 된 것 같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