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명
코너버리(Cornervery)
의미
경상도 사투리로 모퉁이를 ‘코나바리’라고 부른다. 여기에 좀 세련된 느낌과 의미를 부여해 영어로 ‘corner’와 ‘very’를 합성했다.
탄생 시기
2019년
핵심 가치
뚜껑을 덮는 상하 구조의 패키지 박스를 누구나 손쉽게 만들 수 있다. 비용이 저렴하며, 종이도 아낄 수 있다. 전개도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공간도 훨씬 적게 차지한다. 운반으로 인한 탄소 배출도 줄일 수 있다.
브랜드 준비 초기에 가장 많이 했던 질문
Q. 진짜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까?
처음에는 패키지 박스 측면을 와이어로 이은 코너 스티치의 미감 자체로 가능성을 확신했다. 하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그것만으로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규모로 사업을 하시는 분들이 정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되길 바랐다. 더 나아가 환경에 도움이 된다면 더할 나위 없고.
성장 포인트
추구하는 바를 적극적으로 실천하기. 비록 영리적인 사업이지만, 성장하면서 환경에 이로운 활동을 좀 더 활발하게 펼쳐나가고 싶다.
코너버리는 어떻게 시작했나요?
몇 년 전 일본에 갔다가 어떤 숍에서 네 면의 모서리가 금속으로 연결된 패키지 박스를 우연히 발견했어요. 종이에 금속이 직각으로 꺾여 있는 모습에 매료됐어요. ‘코너 스티치’라는 가공 기술인데, 대량 생산이 쉽지 않아 이제는 거의 쓰이지 않더라고요. 그나마 일본이나 독일에서는 1980년대부터 사용한 오래된 공업용 기계로 작업을 하고요. 일반인들이 코너 스티치를 적용할 수 있는 도구는 전혀 없었죠. 내가 갖고 싶으니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하고 싶은 건 일단 다 해봐야 하는 성격이라서요.
세상에 없는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이 만만치 않았을 것 같아요.
스테이플러 안에 들어가는 부품만 해도 50여 개예요. 겉으로는 단순해 보여도 수많은 공정이 숨어 있죠. 하나하나 발품 팔아 배우고 알아보느라 완성하는 데 4년 정도 걸렸어요. 초반에는 기존 스테이플러에서 형태만 바꾸는 방향으로 접근했어요. 그런데 스테이플을 80~90도 접거나 모양을 바꾸는 것만으로는 구현이 안 되더라고요. 아래 받침판 쪽에서 접어 올려 주는 동작이 하나 더 필요한데, 그거 개발하는 데만 1년이 더 소요됐어요. 또 직접 손으로 작업해야 하니 크기와 무게를 줄여야 했고요. 전용 스테이플도 만만하게 봤다가 원자재 수급 등의 문제로 고생을 많이 했어요. 결론적으론 원자재와 기계를 중국에서 수입해 직접 생산하는 걸로 해결했지만요.
각고의 노력 끝에 지식과 기술이 집약된 스테이플러가 탄생한 거네요. 핵심 기술은 무엇인가요?
위에서 내려찍고 아래에서 올려 접는 두 가지 동작이 이어지면서 스테이플을 135도로 접는 게 핵심이에요. 그 형태로 로고를 만들 만큼요. 그래야 접착제 없이 종이가 고정되어 견고한 박스가 되거든요. 누구나 원하는 때에 원하는 만큼만 적은 비용으로 패키지를 제작할 수 있어요. 박스 상태로 보관하지 않아도 되니, 보관 공간도 최소한만 있으면 되어요. 틀이 되는 속지와 그 위에 덧바르는 겉지를 따로 쓰지 않고도 전개도만 있으면 뚜껑이 있는 형태의 박스를 간편하게 만들 수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