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킨츠기 작가. 킨츠기는 도자, 유리, 목공예품 등의 깨어진 조각을 옻칠로 이어붙인 뒤 흙이나 밀가루 등으로 살을 붙이고 금으로 장식해 마무리하는 일본의 전통 수리 기법이다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많이 떠올린 질문
없었다. 삶의 방향성에 대한 확신이 있었기에.
일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내가 지금 킨츠기에 대해 정직한가? 빨리, 대충 하려면 할 수 없는 작업이다. 집중해야만 좋은 작품이 나오기 때문에 좋은 걸 먹고 좋은 생각을 하고 좋은 컨디션일 때 작업하려고 한다.
킨츠기를 하기 전에는 도자 작업을 하셨다고요.
광고 쪽을 전공해 광고 대행사에서 오래 일했어요. 그러다가 도자기를 만들기 시작했어요. 제대로 배운 적이 없어 수축률조차 몰라, 빚은 도자기를 다 말리지 않고 가마에 구웠어요. 전부 터져서 너무 안타까워하는 저를 보고 재일 교포인 친구가 “일본에 깨진 도자기들을 수리하는 기법이 있는데 가서 배워보지 않을래?” 하고 제안했어요. 그 말을 듣고 곧장 교토에서 킨츠키를 배우기 시작했는데 너무 좋은 거예요. 마치 명상을 하는 기분이 들었어요.
킨츠기의 과정을 차근차근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짧고 굵게 말씀드리면, 옻으로 조각을 이어 붙인 뒤에 살을 만들어 입히는 작업이에요. 토분이나 밀가루, 목분 등 자연의 재료를 살려서 표면을 깎고 다듬고 옻칠을 다시 여러 번 해요. 적어도 다섯 번은 옻칠하고 긁어내는 과정을 반복해요.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말만으로는 도저히 전달되지 않는 뭔가가 있어요. 해봐야지만 아는 것들이죠.
보통 하나를 수리하는 데 얼마나 걸리나요?
촬영하기 위해 가져온 손바닥의 반도 안 되는 크기의 잔도 5개월은 잡아요. 조각이 많을수록 오래 걸리고요. 비유를 하자면, 그림을 그릴 때 선 하나 긋는 데 엄청 오래 걸리는 작가들이 있잖아요. 킨츠기도 선을 잘 그어야 해요.
주어진 조각에 맞춰서 선을 긋는 게 아니었나요?
작가가 의도하는 방향에 따라 달라요. 기본적으로 ‘와비사비’라는 기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백의 미, 불완전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게 킨츠기죠. 일부러 수선을 안 하는 부분도 있어요. 그 적절한 완성도에서 나오는 아름다움이 수리된 그릇의 가치를 결정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