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LINE]
[00:00-00:30] 노마드 워커란?
[00:31-01:28] 노마드 워커도 동료가 필요해
[01:29-02:04] 노마드 워커가 되기 위해 필요한 일
[02:05-02:56] 삶의 영역을 확장하고 싶다면
강원도, 전라도, 경상도를 넘어 바다 건너 태국까지, 이지의 아침은 매일 다른 곳에서 시작된다. 2년 전 디지털 노마드의 삶을 선택한 그는 스스로를 ‘노마드 워커’라 부른다. “노마드 워커란 새로운 경험을 위해 공간의 자유를 추구하는 사람을 뜻해요. 더 다양한 경험을 원하는 욕구는 자기 일을 잘하고 싶고, 사랑하는 마음에서 오는 거죠.” 대학을 졸업한 후 떠난 세계 여행을 계기로 그는 여행 관련 콘텐츠를 만드는 회사에서 커리어를 시작했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를 하게 되며 여행과 일을 동시에 하는 디지털 노마드의 세계에 발을 들였고, 1년 전 회사를 떠나 자유롭게 일하고 있다.
“디지털 노마드 하면 바다 앞에 노트북을 펼친 모습을 떠올리잖아요. 하지만 현실은 책상 앞에 있을 때가 많아요. 사무실에서 근무할 때보다 더 오래 일을 하기도 해요. 올해 초 치앙마이로 워케이션을 떠나 밤낮없이 일만 하다 왔지 뭐예요.” 웃으며 워케이션 실패담을 들려준 그는 이를 통해 루틴의 중요성을 깨달았다고 한다. 시간을 주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삶의 밸런스를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어디에서 아침을 맞든 식사를 하고 커피를 마시며 글을 쓰는 일을 반드시 해요. 모닝 루틴을 지켜야만 남은 하루를 잘 보낼 수 있거든요. 노마드 워커가 되며 얻은 귀한 시간이에요.” 대중교통에 몸을 싣고 출근 전쟁을 치르던 시간을 이제는 온전히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 그 시간을 거치면 명상을 한 듯 머리가 가벼워져 하루를 가뿐하게 시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