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우든보트 빌더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많이 떠올린 질문
Q. 우든보트에 대한 수요가 없어도 괜찮을까?
국내 레저용 배 시장이 작은 편이다. 그마저도 FRP(섬유 강화 플라스틱)나 알루미늄으로 만든 배가 주로 판매된다. 그래서 우든보트 자체를 사람들에게 알리는 게 더 시급하다고 생각했다. 현재 라보드 우든보트에서 제작한 배 두 척은 체험용으로 직접 사용해 보고 있다.
일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매년 한 척의 배를 만들자’라는 처음의 목표를 잊지 말자. 게스트 하우스와 관광 프로그램 등도 운영하고 있는데, 모두 배를 만들기 위해 하는 일이다.

요즘 시대에 나무로 배를 만드는 경우를 처음 보았어요. 어떤 배를 만들고 있나요?
국내에서 유일하게 나무로 배를 만들고 있습니다. 2019년에 회사를 차려 지금까지 두 척의 배를 만들었습니다. 첫 번째 배인 세투스는 제주도에, 두 번째 배인 월러스는 영도에 있습니다. 모두 레저용 보트로, 주로 가까운 바다에서 여가를 즐길 때 사용해요.
나무로 배를 만드는 일을 어떤 계기로 시작했나요?
목공을 취미로 즐기는 9년 차 평범한 직장인이었어요. 어느 날 아내가 국내 청년들이 나무로 보트를 만들어 광화문에 전시하고 있다는 기사를 보여주었어요. 광화문에서 실제로 배를 보고 첫눈에 반했습니다. 어린 시절을 경남 통영 욕지도와 부산 영도에서 보내서 낚싯배는 자주 보았는데, 광화문에 전시된 배는 영화 속에서 본 듯한 클래식 스타일의 멋진 보트였어요. 곧장 퇴사를 결심하고 2014년에 강원도 원주의 선박학교에 들어갔습니다.
원주 선박학교에서는 무엇을 배웠나요?
나무로 배를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직업 학교인데, 2년 과정이에요. 가구나 소품을 만들던 것과 달리 배를 만들 땐 익혀야 하는 기술이 훨씬 다양해요. 규모 자체가 다를뿐더러 안전 문제와 직결되어 있으니 디자인을 할 때도 그에 맞춰 구조를 설계하고 재료를 선택해야 해요. 전기, 용접, 도장 기술 등 전문적인 기술도 필요하기 때문에 배 한 척을 만들기 위해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필요하죠. 라보드 우든보트도 각자의 전문 분야가 있는 4명이 한 팀으로 활동 중이고 그 외 필요한 부분은 외부 인력으로 해결해요.
한 척의 배를 만드는 과정은 어떠한가요?
우선, 배를 어디에 띄울지를 정한 후 그에 맞춰 배를 디자인해요. 정박하는 해안의 특징에 따라 배의 형태가 달라지기 때문이에요. 디자인을 한 후에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돌려 안전성 테스트를 한 뒤 설계에 들어갑니다. 배 아랫부분부터 만드는데, 뒷면부터 만들고 이를 뒤집어 케빈을 지어줘요. 케빈을 만드는 일은 작은 집을 짓는 것과 비슷해요. 이 과정이 6~8개월 정도 소요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