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클린하이커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많이 떠올린 질문
Q. 어떻게 많은 사람을 동참시킬 수 있을까?
쓰레기를 줍고 끝나면 그냥 청소하는 행위지만, 그것을 사진이나 콘텐츠로 남겨서 공유하면 영향력을 늘려 환경 정화 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를 어떻게 해야 세상 사람들도 심각한 문제로 느끼게 할 수 있을지 자주 고민한다.
일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과유불급. 지금 열심히 줍는다고 온 세상이 깨끗해지지 않는다. 문화를 만들고 지속가능성 하게 활동한다.
산에서 쓰레기를 줍는 클린하이킹을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나요?
5년 전 어느 날, 지리산 일출을 보고 내려오는 길에 장터목 대피소에서 쓰레기를 보고 큰 충격을 받았어요. 며칠이 지나도 불편한 마음이 가시질 않아서 고민 끝에 소셜미디어에 짧은 글을 올렸죠. ‘산에서 보이는 쓰레기가 불편하셨던 분, 청계산에서 만날래요? 함께 등산하면서 쓰레기도 줍고 이야기 나눠요.’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모였고, 그것이 한 달에 한번 산을 청소하는 ‘클린하이킹’ 캠페인의 시작이 됐어요.
클린하이커스 활동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있나요?
클린하이커스의 역할은 쓰레기 잘 줍는 법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쓰레기를 줍는 문화를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한 사람이 천 개의 쓰레기를 줍는 것보다 천 명이 열 개씩 줍는 게 낫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공유를 제일 중요하게 생각해요. 특히 한국사회에서는 대세에 합류하고 싶다는 마음이 크잖아요. 대세의 흐름을 만들려면 혼자 힘으로는 불가능하죠.
환경을 지키자는 메시지를 어떻게 공유해야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나요?
소셜미디어에서 인기를 끄는 챌린지 속성과 비슷해요. 챌린지 실천 과제가 어려웠다면 사람들이 동참하지 못했을 거잖아요. 클린하이커스도 어떻게 하면 환경 실천을 가볍게 전달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요. 민들레 홑씨처럼 멀리 가려면 가벼워야 하니까요. 무겁고 진지한 이야기를 하면 마음을 닫게 되는데, 가벼운 이야기를 꾸준하게 하면 마음에 조금씩 균열이 생긴다고 생각해요. 그때부터 매번 마주쳤던 쓰레기가 새삼스럽게 보이고, 자연스럽게 길을 걷다가 쓰레기를 줍게 되는 거죠.